[음악]‘한국동요의 아버지’ 윤석중 童心속에 잠들다

  • 입력 2003년 12월 9일 18시 26분


코멘트
9일 타계한 석동 윤석중(石童 尹石重) 선생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의 폐허 속에서 메마른 어린이들의 가슴에 샘물과도 같이 순수한 노래를 들려준 한국 아동문학의 선각자였다. 그가 청년기에 지은 ‘기찻길 옆 오막살이’ 등의 동시는 이후 노래로 만들어져 온 국민이 함께 부르는 애창동요가 되었다.

여덟 살 때 겪은 3·1독립운동의 신선한 충격을 ‘붕붕 수만마리 벌이 나는 듯한 함성소리와 총소리’로 간직하며 자란 석동은 열 살 때 뒤늦게 초등학교에 입학한 뒤 ‘버젓한 우리말이 있는데 왜 선생님들은 일본 동요만 가르치나’라는 의문을 품고 민족의식에 눈뜨기 시작했다. 열두 살 때 소파 방정환의 주도로 열린 첫 번째 어린이날 행사를 보고 ‘어린이의 정신을 일깨우는 데 민족의 미래가 있다’는 점을 깨달아 아동문학에 정진할 뜻을 품게 된다.


아동문학가 윤석중 선생은 한평생 ‘어린이 사랑’을 실천하고 전파했다. 1994년 윤 선생(가운데)과 서울 종로구 경운동 교동초등학교 어린이들. 윤 선생은 이 학교의 제17회 졸업생이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열세 살 때 첫 작품 ‘봄’을 발표해 등단한 그는 이듬해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화극 ‘올빼미 눈’으로 가작 당선하면서 ‘학생 문인’으로 필명을 날리게 된다. 1929년 작곡가 홍난파와 교유하면서 힘을 합쳐 ‘퐁당퐁당’ ‘낮에 나온 반달’ 등의 동요를 탄생시켰다.

이 해 광주학생운동으로 민족의식에 눈뜨게 된 그는 다니던 양정고를 자퇴했다. 당시 만세운동을 논의했으나 ‘며칠 뒤면 졸업인데…’라며 주저하는 친구들에게 “나라 없는 수모를 겪으면서 그깟 졸업장이 무어라고…”하며 일갈한 뒤 자퇴서를 제출한 일화는 유명하다. 1932년 ‘엄마 앞에서 짝짜꿍’ 등이 실린 ‘윤석중 동요집’을, 33년 첫 동시집 ‘잃어버린 댕기’를 출간했다. 같은 해 방정환의 뒤를 이어 1년간 ‘어린이’지의 편집장을 지냈다. 42년 일본 유학길에 올랐으나 곧 징용을 피해 귀국, 은신했다가 광복을 맞아 ‘새나라의 어린이’ ‘어린이날 노래’ ‘졸업식 노래’ 등을 발표하면서 제2의 창작 황금기를 맞았다.

1956년 ‘새싹회’를 창립한 그는 소파상, 새싹문학상 등을 제정해 어린이 문학운동 후원에 심혈을 기울였다. 1994년 83세의 고령에도 동요집 ‘그 얼마나 고마우냐’를 펴내는 등 창작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고인의 별세 소식을 접한 아동문학가 어효선씨(78)는 “고인은 새싹회 창립 등 여러 가지 어려운 일을 맡아 하면서도 언제나 어린이의 마음을 닮은 낙관적 생각을 가졌다”며 “그가 쉽게 생각한 일은 결국 그의 생각대로 쉽게 풀리곤 했다”고 회고했다. 광복 후 을유문화사에서 함께 일했던 정진숙 을유문화사 회장(91)은 “6·25전쟁 때 피란살이의 궁핍한 생활 중에도 동시 동화 창작의 펜을 놓지 않았던, 열정에 찬 사람이었다”며 애석해 했다.

아동문학가 노원호씨(57)는 “선생은 3년 전까지도 매달 후배 아동문학가들과 오찬모임을 가졌다”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어린이들에게만은 항상 밝은 마음을 심어주어야 한다던 고인의 말씀이 귀에 생생하다”고 추모했다.

유윤종기자 gustav@donga.com

[윤석중선생 연보]

△1911 서울 수표동 출생 △1925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화극 ‘올빼미 눈’으로 가작 당선 △1929 광주학생운동 영향으로 양정고 자퇴 △1933 국내 첫 동시집 ‘잃어버린 댕기’ 출간 △1942 일본유학, 곧 징용 피해 귀국 △1956 ‘새싹회’ 설립 △1978 막사이사이상 수상 △1992 인촌상(문학부문) 수상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