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회사 골격 ‘오락가락’…은행통합 막판 진통

  • 입력 2000년 12월 4일 23시 29분


코멘트
2차 은행 구조조정의 골격을 놓고 정부가 막판 고민에 빠졌다.

금융감독위원회 정건용부위원장은 4일 “한빛은행 주축의 지주회사 설립이라는 기본 원칙에는 변화가 없다”면서도 “타 우량은행도 지주회사를 세운다면 지방 부실은행과 평화은행을 편입시킬 수 있다”고 말해 ‘제3의 판짜기’가 가능함을 시사했다.

이는 당초 한빛은행을 중심으로 해 평화 광주 제주 경남은행을 하나로 묶는 방안이 부실만을 키울 것이라는 대내외의 비난여론이 높고 노조의 반발도 만만치 않기 때문. 이 때문에 정부는 새로운 방식을 모색하고 있으나 사실상 이마저도 실현 가능성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제3의 판짜기’는?〓금융감독원의 정기홍부원장은 “외환은행이나 조흥은행도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지방은행 등을 편입할 은행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외환은행 김경림행장이 독일을 방문해 코메르츠방크와 증자 문제를 논의할 때 이 문제가 거론됐고 코메르츠도 반대하지 않았다는 것. 이 경우 금융지주회사는 당초 ‘한빛 중심’뿐만 아니라 ‘외환 중심’, ‘조흥 중심’ 등 다양한 짝짓기가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런 조합을 통해 ‘부실+부실’은 부실해결방법이 안된다는 비난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량+지방은행’의 가능성은〓정부위원장은 “지방은행이 우량은행을 파트너로 잡을 수만 있다면 반대할 이유가 없다”며 “이때도 공적자금을 투입해 지방은행의 부실을 정리해줄 계획”이라고 말했다. 98년 하나은행이 충청은행을 흡수해 지방 네트워크를 탄탄히 한 사례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이 실현 가능할지에 대해서는 현재로서는 회의론이 우세한 실정이다. 국민은행 최인규전략기획실장은 “현재 우량은행들은 지방 네트워크망이 탄탄하기 때문에 굳이 지방은행을 인수할 이유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우량은행 대주주 설득도 문제다. 주택은행의 윤재관(尹在瓘)전략기획팀장은 “합병을 추진하려면 2000여개의 외국계 펀드를 일일이 설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의 신인석박사는 “우량은행 등 인수 은행의 입장에서는 고용 또는 점포에 대한 구조조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야 구조조정에 성공할 수 있다”며 “이같은 자산부채계약인수(P&A)가 아닌 지주회사 방식은 구조조정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고민하는 정부〓광주 제주 경남은행의 노조는 한빛은행 중심의 지주회사방식은 물론 우량은행과의 합병에도 반대하고 있다. 공적자금을 요구하면서도 ‘고통’을 수반할 수 있는 어떠한 금융재편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것. 이 때문에 우량 은행들이 인수에 나설 분위기도 못된다.

조흥은행 관계자는 “정부의 이날 발언은 지방은행의 의중을 떠보기 위한 탐색전의 성격이 강한 것 같다”며 “지방은행도 우량은행 파트너를 찾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여 결국 한빛 중심의 지주회사로 가는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현진·이나연기자>laros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