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하 강제징용사망 4천명 추가발견…정문연 박성수교수

  • 입력 1997년 2월 11일 17시 35분


일제하에서 강제징용을 당해 현지에서 사망한 희생자 4천여명의 명단 또는 유해소재가 새로 발견됐다.

11일 보건복지부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 의뢰, 96년 실시한 「해외 희생자 유해현황 조사」 결과 일제하에서 北海島를 비롯한 일본내 탄광 등으로 끌려간 강제징용자 3천9백55명의 명부를 추가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조사를 맡은 정신문화연구원 박성수교수는 이는 그동안 일본정부가 지난 76년부터 92년까지 3차레에 나눠 공식발표한 한국인 징용자 12만8천여명의 명단에는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자료라고 밝혔다.

그동안 일본은 12만8천여명이외에는 강제징용자가 더이상 없다고 여러차례 밝혀왔으나 이번 자료는 일본정부의 공식발표를 정면 반박하는 것이자 최근 일본이 종군위안부나 독도문제등에 관한 망안을 되풀이하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어서 한-일과거사 관계에 새로운 논쟁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朴교수는 이번에 징용사실이 추가확인된 희생자들은 재일사학자 朴慶植씨 등의도움을 받아 북해도 개척기념관 등에서 발굴한 것으로 일본 정부가 한국인들을 조직적으로 강제연행했음을 증명해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라고 설명했다.

이 자료들은 일제가 당시 관청 알선 및 자유로운 노동자 모집을 허울로 내세워 한국 각 郡당국과 경찰에 징용자를 할당해 강제로 끌어 갔으며 물건의 수급에나 사용하는 「供出」이라는 용어를 사람에 사용, 징용자를 노예취급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또 이와는 별도로 징용자중 일본에서 질병 등으로 사망한 희생자의 유해 1천1백여구의 소재도 추가로 밝혀졌다.

이에따라 기존에 일본 내에서 소재가 확인된 강제징용자 등 한국인 희생자 유해가 1만7천2백91위로 늘어났으며 러시아와 중국, 남태평양지역을 포함해 일제하 징용·징병자중 확인된 무연고 유해는 4만1천여구로 증가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복지부가 지난 95년부터 강제 징용 징병 군위안부 등 일제하 해외로 끌려나간 선인과 현지에서 사망한 희생자에 대한 조사 및 유해봉환사업의 일환으로 96년 실시된 것이다.

복지부는 이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지난해 해외 현지에서 위령비 건립 및 묘지의 공원화 사업을 실시했으며 앞으로 태평양전쟁희생유족회 등 민간단체를 지원, 유해를 송환해 천안 망향의 동산 등에 안장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