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미국 에너지부의 내부 지침이 15일 발효됐다. 정부는 지난달 미국 측에 민감국가 지정을 해제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이날 한국이 명단에 그대로 포함된 상태로 지침이 시행된 것. 정부는 “(해제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며 후속 협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정부에 따르면 미 에너지부가 바이든 정부 시절인 올 1월 한국을 민감국가의 최하위 범주인 기타 지정국가로 분류한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CL)’ 지침은 이날 0시부터 효력을 갖게 됐다. 이에 따라 한국 출신 연구자가 미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를 방문하려면 최소 45일 전에 자료를 제출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미국의 연구자가 한국 연구소를 방문할 때도 보안 절차를 거쳐야 한다.
미 측은 우리 정부와 소통 과정에서 해제 시기나 절차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최근까지도 미 에너지부와 한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국장급이 참여하는 실무협의체를 통해 민감국가 해제 안건을 논의해 왔다. 정부 관계자는 “미 측은 민감국가 지정이 한미 간의 연구개발(R&D) 협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확인했다”며 “후속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미 측이 이달 안이나 다음 달 초 등 빠른 시일 안에 이를 해제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 측이 민감국가로 지정한 원인이 해소됐는지 확인하고 검토하는 내부 절차가 필요하다는 것. 외교가 일각에서는 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협상 등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민감국가 지정 해제 안건도 협상 카드로 꺼내 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