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모두 조기 대선에 대비하기 위한 물밑 준비에 돌입했다. 양당 모두 대선에 대한 공개 언급은 삼가고 있지만,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이 인용될 경우 60일 내에 당내 경선과 대선을 치러야 하는 만큼 일정 준비가 빠듯하다는 계산이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운데)와 김두관(오른쪽), 박용진 전 민주당 의원이 18일 오후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광명역사컨벤션웨딩홀에서 열린 비명(비이재명)계 주도의 야권 대선주자 연대 플랫폼 ‘희망과 대안’ 포럼 창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2.18/뉴스1
18일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민주당은 2017년 조기 대선 당시 당내 경선 사례를 참고해 전국 4개 권역(서울‧충청‧호남‧영남)을 돌면서 선거인단 투표를 진행하는 방식을 유력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권리당원을 비롯해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선거인단을 모집해 당내 경선을 치를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비명(비이재명)계 후보군은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대표는 헌재의 탄핵 인용 결정이 나오는 즉시 당 대표직을 사퇴하고 경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지난 조기 대선 경선룰을 준용하되, 가급적 도전하는 후보들의 요구사항을 받아들여 경선의 흥행도를 올리겠다는 판단”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에선 대통령실에 파견됐던 당직자 중 일부가 17일 당으로 복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정치권에선 “국민의힘이 대선 준비에 착수한 것 아니냐”는 주장이 나왔다. 한 여당 관계자는 “임명권자가 사라지는 상황이 발생하면 순차적 복귀가 이뤄지고 선거 체제로 전환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민주당 박선원 의원이 이날 “대통령실로 파견갔던 행정관 20여 명 중 절반이 복귀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17일자로 대통령실에서 당으로 복귀한 2명은 지난해 11월부터 추진된 인사였는데 비상계엄 사태가 벌어지면서 오히려 인사가 늦어진 것”이라며 “당이 조기대선을 준비하고 있는 듯한 모습을 보여 결집된 지지층을 와해시키려는 전략 아니냐”고 반발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