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北 후방서 韓 전역 전술핵 공격 가능 위협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은 19일 오전 11시 5분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단거리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 미사일은 800여 km를 날아가 동해상에 떨어졌다. 최고 고도는 약 50km였다. 미사일은 한미의 요격망을 회피<하기 위해 수평비행을 하다 급상승하는 ‘풀업(pull-up)’ 기동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북한의 미사일 도발은 이달 들어서만 5번째다. 13일 시작된 한미 연합연습인 ‘프리덤실드(FS)’의 예비 단계인 위기관리 연습(CMX)이 6일 시작된 이후 북한은 9일부터 2, 3일 간격으로 미사일을 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선임분석관은 “군사분계선(MDL) 인근까지 내려오지 않아도 후방 지역 등 북한 내 어디에서도 남한을 타격할 수 있다고 과시한 것”이라고 했다.
도발 지역이 동창리인 점도 관심을 끈다. 동창리는 북한이 지난해 12월 고체연료를 사용한 고출력 엔진 시험을 진행하고 뒤이어 군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 단계 시험이라며 준중거리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곳이다. 이 때문에 이번 도발이 북한이 동창리에서 기습 타격에 유리한 신형 고체연료 ICBM 발사나 고체연료 ICBM 확보의 사전 단계인 군 정찰위성 발사를 다음 달 중 감행할 것을 예고한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 北 미사일 발사 약 25분 뒤 B-1B 한반도에
B-1B 2대는 북한이 도발을 감행한 직후 이날 오전 11시 반 전후 한반도 작전 구역에 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에 따르면 B-1B의 한반도 전개는 FS와 연계해 사전에 계획됐다. 북한이 B-1B의 전개 사실을 탐지하고 미사일을 발사했는지에 대한 분석은 엇갈린다. 일각에서는 미리 탐지해 전략자산 전개를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무력시위를 벌였을 가능성을 거론한다. 다만 군 당 국은 북한의 의 탐지 능력으로 볼 때 사전에 전략폭격기 전개 사실을 알았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보고 있다. B-1B 미 사우스다코타주 공군기지에서 출격한 B-1B는 우리 공군 스텔스 전투기 F-35A와 동해와 한반도 내륙, 서해에서 연합 훈련을 했다. 미군 전략폭격기가 한반도에 온 건 6일 B-52 전개 이후 13일 만이다. B-1B의 전개는 16일 만이다.
손효주기자 hjs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