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李, “임기 내 청년 고용률 5%포인트 향상”
이 후보는 이날 “일자리가 곧 경제이고, 곧 복지”라며 “기업과 지역이 연계해 주도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정부의 진취적인 정책 기획과 과감한 지원으로 대한민국 일자리 대전환 시대의 문을 활짝 열겠다”고 밝혔다. 특히 이 후보는 “디지털·에너지·사회서비스 대전환을 통해 30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앞서 국비, 지방비, 민간자금을 포함한 135조 원으로 디지털 인프라를 조성해 200만 개의 일자리를 늘리겠다고 공약했는데, 여기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공공보건 분야와 돌봄 간병 보육 등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반듯한 일자리” 100만 개를 만들겠다는 것. 이 후보는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이 사회서비스 일자리 100만 개를 미리 주장했는데 이 부분을 저희가 과감히 수용했다”고 밝혔다.기업 주도의 일자리 성장도 강조했다. 이 후보는 “미래 핵심 산업의 창업을 돕는 테크형 메가펀드인 K비전펀드를 50조 원 규모로 조성하겠다”며 “성공적인 벤처투자펀드 조성을 위해 배당 소득에 대해서는 저율의 분리과세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 후보는 “임기 내 청년 고용률 5%포인트 향상”도 약속했다.
‘이재명표’ 일자리 공약은 공공 중심의 일자리 창출에 집중했던 문재인 정부와 차별화하겠다는 의도도 담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면서도 이 후보는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를 일자리대전환위원회로 개편하고, ‘광주형 일자리’로 대표되는 상생형 지역일자리 사업을 전국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 “4년 중임제 합의되면 임기 1년 단축도 가능”
이 후보는 대통령 4년 중임제에 대한 개헌 합의가 된다면 대통령 임기를 1년 단축할 수 있다는 뜻도 처음 밝혔다. 이 후보는 이날 MBN과의 인터뷰에서 “책임 정치를 하기 위해서는 권력이 좀 분산된 4년 중임제로 가야 되는데 문제는 합의가 쉽지 않다는 것”이라면서 “지금 (여야 간) 합의가 가능하면 임기를 1년 단축하더라도 그런 방식의 개헌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민주당의 이런 조치는 이 후보의 지지율이 30%대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을 타개하겠다는 의도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3월 대선을 이겨야 6월 지방선거의 승리도 바라볼 수 있다”며 “2017년 대선 당시 문재인 대통령의 득표율인 41.1% 수준까지 도달하는 것이 1차 목표”라고 했다.
박훈상 기자 tigermas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