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대통령 “유엔司 용산잔류주장 낡은 생각”

  • 입력 2004년 1월 16일 18시 25분


우리 정부가 서울 용산 미군기지의 한강 이남 이전 문제와 관련해 ‘자주(自主)외교’ 노선을 앞세워 미숙한 외교적 대응을 함으로써 양국간의 외교 갈등과 안보 공백을 초래한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15일 언론사 경제부장단과의 오찬간담회에서 “일부 공무원을 포함해 유엔사를 용산에 붙들어 놓고 싶어 하는 사람이 있지만 그것은 이미 낡은 생각이다. 평택에 가더라도 미군기지가 제 기능을 다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또 “미국에서는 (평택으로) 가고 싶어 하는데 정치권과 일부 공무원이 이를 (붙들려고) 시도하고 있다. 이 문제는 대통령이 옳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도널드 럼즈펠드 미 국방부 장관은 최근 조영길(曺永吉) 국방부 장관에게 ‘용산 미군기지의 후방 이전을 관철하겠다’는 뜻을 담은 강경한 내용의 서한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국방위의 한 관계자는 “럼즈펠드 장관의 이 서한은 그동안 협상과정에서 ‘미군기지의 한강 이남 이전은 미국측에 달린 일’이라는 식의 태도를 보여 온 한국정부에 대한 불만의 표시이기도 하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美 “연합사-유엔사 南下 관철”
- 美빠진 수도권 안보공백 문제없나
- “17만평은 自主고 28만평은 崇美냐”
-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 盧대통령비판

이에 따라 보수층과 재계 등에서는 용산기지 이전 후 안보 공백과 외국인 자본의 이탈 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나 정부는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다. 나종일(羅鍾一) 대통령국가안보보좌관은 16일 평화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유엔사와 연합사가 한강 이남으로 이전해도 안보가 불안해진다고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한미 양국은 16일(한국시간)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미래한미동맹 6차 회의를 열고 연합사와 유엔사의 용산기지 잔류 문제를 협의했으나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양측은 17일 회의에서 용산기지를 평택 오산으로 이전하고 이전비용(30억∼40억달러 추산)을 한국측이 부담하는 내용의 포괄협정과 이행합의서를 체결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기흥기자 eligius@donga.com

호놀룰루=최호원기자 bestige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