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15일 언론사 경제부장단과의 오찬간담회에서 “일부 공무원을 포함해 유엔사를 용산에 붙들어 놓고 싶어 하는 사람이 있지만 그것은 이미 낡은 생각이다. 평택에 가더라도 미군기지가 제 기능을 다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또 “미국에서는 (평택으로) 가고 싶어 하는데 정치권과 일부 공무원이 이를 (붙들려고) 시도하고 있다. 이 문제는 대통령이 옳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도널드 럼즈펠드 미 국방부 장관은 최근 조영길(曺永吉) 국방부 장관에게 ‘용산 미군기지의 후방 이전을 관철하겠다’는 뜻을 담은 강경한 내용의 서한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국방위의 한 관계자는 “럼즈펠드 장관의 이 서한은 그동안 협상과정에서 ‘미군기지의 한강 이남 이전은 미국측에 달린 일’이라는 식의 태도를 보여 온 한국정부에 대한 불만의 표시이기도 하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 美 “연합사-유엔사 南下 관철” - 美빠진 수도권 안보공백 문제없나 - “17만평은 自主고 28만평은 崇美냐” -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 盧대통령비판 |
이에 따라 보수층과 재계 등에서는 용산기지 이전 후 안보 공백과 외국인 자본의 이탈 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나 정부는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다. 나종일(羅鍾一) 대통령국가안보보좌관은 16일 평화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유엔사와 연합사가 한강 이남으로 이전해도 안보가 불안해진다고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한미 양국은 16일(한국시간)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미래한미동맹 6차 회의를 열고 연합사와 유엔사의 용산기지 잔류 문제를 협의했으나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양측은 17일 회의에서 용산기지를 평택 오산으로 이전하고 이전비용(30억∼40억달러 추산)을 한국측이 부담하는 내용의 포괄협정과 이행합의서를 체결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기흥기자 eligius@donga.com
호놀룰루=최호원기자 bestiger@donga.com
![]() | ![]() ![]()
|
| |
![]()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