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리더는 좇지 않고 바라본다”[김영민의 본다는 것은]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10월 4일 03시 00분


코멘트

<39> 영화 ‘밀러스 크로싱’

갱 영화는 정치에 대해 의미심장한 진실들을 일러주곤 한다. 갱 영화는 권력, 조직, 리더십, 세력 다툼 같은 정치의 중요 주제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코언 형제의 1990년 작 갱 영화 ‘밀러스 크로싱’은 정치 리더십에 관한 고전, 영화판 ‘군주론’이다.

1920년대 미국의 한 도시, 아일랜드계 갱과 이탈리아계 갱이 세력 다툼을 하고 있다. 이탈리아계 보스 캐스퍼는 조직의 배신자 버니를 처단하려 하지만 아일랜드계 보스 레오가 방해한다. 버니는 다름 아닌 레오의 연인 버나의 남동생이기 때문이다. 캐스퍼는 레오의 방해가 부당하다며 반발하고, 레오의 오른팔 톰 역시 보스의 사사롭고 부당한 일처리에 실망한 듯 보스 곁을 떠나 캐스퍼 쪽으로 넘어간다. 일견 톰이 레오를 배신한 듯하지만, 결국에 가서는 레오의 승리를 도운 것으로 판명된다. 레오는 다름 아닌 톰 덕분에 위기에서 벗어나 조직을 재건하며 영화는 끝난다.

세 명의 리더를 비교해 보자. 첫째, 아일랜드계의 레오. 그는 갱 리더십의 기본 중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강한 무력을 가지고 있다. 그는 자기 무력을 믿고, 자기 마음대로 해도 된다고 생각한다. 누가 보아도 잘못한 버니를 자기 애인의 동생이라는 이유 하나로 감싸고돈다. 아무리 힘이 세도 원칙이 없으면 상대의 진심 어린 복종을 불러올 수 없는 법. 정당화되지 않은 힘은 한계를 드러내기 마련이다. 결국 이탈리아 갱이 반기를 들고, 도시의 평화는 깨지고 만다.

반기를 든 이탈리아계 보스 캐스퍼는 어떤가. 그의 명분은 윤리적 원칙에 있다. 레오와 버니는 비윤리적이므로 처단해야 한다고 캐스퍼는 굳게 믿는다. 그러나 캐스퍼가 세세한 윤리 원칙에 집착하고 있을 때, 정작 본인 스스로 비윤리적인 갱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잊고 있다. 원칙에 대한 강한 집착으로 인해 그는 결국 부하들과 불화를 빚고 만다. 가장 가까운 심복 데인마저도 윤리적으로 의심한 끝에 처단한다. 심복을 잃은 캐스퍼는 결국 파멸한다.

‘밀러스 크로싱’의 주인공 톰(게이브리얼 번·위 사진)은 모자로 상징되는 욕망을 좇지 않고 바라보는 인물이다. 아래는 르네 마그리트가 그의 작품 ‘필그림’ 앞에서 찍은 사진. 사진 출처 IMDB·위키피디아
‘밀러스 크로싱’의 주인공 톰(게이브리얼 번·위 사진)은 모자로 상징되는 욕망을 좇지 않고 바라보는 인물이다. 아래는 르네 마그리트가 그의 작품 ‘필그림’ 앞에서 찍은 사진. 사진 출처 IMDB·위키피디아
이 영화에서 가장 흥미로운 캐릭터는 레오의 오른팔 톰이다. 검은 모자를 즐겨 쓰는 남자, 톰은 일견 종잡을 수 없는 인간이다. 보스의 애인인 버나와 밀회를 즐긴다는 점에서 비윤리적이다. 그러나 그는 보스에 대한 버나의 감정이 거짓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에 그럴 수 있다. 그는 두목을 배신하되 깊이 배신하지는 않는 셈이다. 마찬가지로, 레오에 의해 버림받고 이탈리아 갱에게 투항했을 때 그는 전형적인 변절자처럼 보인다. 그러나 결말에 이르러 그의 변절이 결국 레오를 구하게 되자, 레오는 톰이야말로 자신을 진정으로 위하는 사람임을 깨닫게 된다.

이처럼 톰은 얼핏 보기에 원칙 없고 애매하기 짝이 없는 처신을 일삼는다. 흥미로운 것은 바로 그러한 모호한 처신이야말로 결국 조직의 위기를 구한다는 사실이다. 그것은 톰이 상황의 내적 동학을 파악하는 명민한 안목과 판 전체를 읽는 너른 시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전체가 아닌 부분만 보는 사람에게나 톰의 처신이 무원칙해 보일 뿐이다.

톰은 어떻게 해서 전체를 볼 수 있고, 상황의 내적 동학을 읽어낼 수 있었을까. 어떻게 해서 진정한 리더가 될 수 있었을까. 톰은 어느 것에도 몰입하지 않기 때문에 거리를 둘 수 있고, 모든 일에 거리를 두기에 전체를 볼 수 있다.

몰입하지 않는 이가 치러야 할 대가가 있다. 그는 상황으로부터 필연적으로 소외된다. 모두 기뻐 날뛸 때 뒤로 물러나 그 장면을 찍어야 하는 촬영기사처럼, 그는 상황으로부터 소외되어 있다. 그는 어떤 상황에도 몰입하지 않기 때문에 몰입이 주는 쾌감을 누릴 수 없다. 그는 모든 야단법석에 함께하되 그 일부가 되지 않고, 늘 거리를 두면서 상황 전체를 생각한다. 게임에 참여하되 게임의 룰과 시작과 끝을 생각한다. 그는 행동하는 자라기보다는 생각하는 자이다. 그래서일까, 영화 내내 톰은 어떤 우울에 잠겨 있다.

코언 형제의 영화 ‘밀러스 크로싱’에서 반복적으로 나오는 숲속의 검은 모자. 모자는 욕망의 대상을 상징한다. 사진 출처 IMDB
코언 형제의 영화 ‘밀러스 크로싱’에서 반복적으로 나오는 숲속의 검은 모자. 모자는 욕망의 대상을 상징한다. 사진 출처 IMDB
이 모든 이야기를 집약하는 이미지가 바로 ‘밀러스 크로싱’에서 반복해서 나오는 숲속의 모자 이미지다. 톰은 검은 모자가 숲속을 부유하는 꿈을 꾼다. 꿈 이야기를 듣던 버나가 묻는다. “모자를 쫓아가서 잡았더니, 그 모자가 다른 것으로 변하지 않았어?” 톰이 대답한다. “아니. 모자를 쫓지 않았어.” 이것이 톰이다. 모자는 욕망의 대상이다. 사람마다 자기만의 모자가 있다. 돈, 권력, 명예라는 이름의 모자. 보통 사람들은 모자를 쫓으며 인생을 소진하고, 정작 모자를 손에 쥐면, 그 모자는 다른 것으로 돌변한다. 욕망은 충족되지 않고, 갈증은 계속된다.

위대한 리더 톰은 모자를 쫓지 않고 바라보기만 한다. 르네 마그리트의 ‘필그림(The Pilgrim)’에서처럼, 그와 모자는 분리되어 있다. 모자라는 욕망을 좇고 있지 않기 때문에, 목전의 상황에 함몰되지 않고 전체를 볼 수 있다. 전체를 볼 수 있는 시선, 이것이야말로 리더의 핵심 자질이다. 전체를 볼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특정 욕망에 함몰되어서는 안 되고 대상과 늘 거리를 유지해야만 한다. 모자를 사랑하지만 모자를 쫓아서는 안 된다. 그에게는 몰입의 쾌감 대신 아득한 피로와 슬픔이 있다. 그것이 전체를 생각하는 리더가 치러야 하는 대가이다.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밀러스 크로싱#위대한 리더#군주론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