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이 수도권으로 쏠리면서 도산 위기에 몰린 지방대들은 신입생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모 국립대는 입학처장이 방문 판매원처럼 고교를 돌며 학생들을 모집 중이다. 신입생 전원에게 장학금이나 아이폰을 경품으로 내건 대학도 있다. 등록금이 주요 재원인 상황에서 코로나19로 유학생까지 줄자 모 대학은 환경미화원을 내보내고 총장과 교수가 청소를 맡기로 했다. 이대로 가다가는 대학들이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하는 것이 아니라 곳곳에서 동시다발로 쓰러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대학들의 도미노 붕괴는 정책 실패의 결과다. 저출산 추세가 시작된 1996년 정부는 지방대 육성과 대학 문호 확대라는 명분으로 대학 설립의 기준을 오히려 대폭 낮추었다. 이후 대학 정원이 남아돌고 부실 대학이 속출하자 교육부는 2013년부터 대학 구조조정을 시도했지만 지금까지 폐교된 학교는 17곳뿐이다.
대학들도 위기의식을 가지고 수요에 따라 학과별 정원을 탄력적으로 조정하는 등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제 고교생만 받아 대학을 운영하는 시대는 끝났다. 해당 지역의 자치단체나 기업과 연계해 지역 사회의 발전을 이끄는 직업 교육과 평생 교육 및 연구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스타 ‘이상직 비자금’, 정권말 권력형 비리 비화하나
“정치 방송인 김어준 퇴출”…靑청원, 20만 명 동의
‘김종인의 입’ 물러난 김은혜 “누군가 상처받았을 것같아 반성”
文의 ‘검찰 황태자’ 이성윤, 기소 넘어 차기 檢총장 꿈 이룰까
“조국·임종석·이광철 범행가담 강한 의심"…‘靑 선거개입’ 불기소 처분서 보니
광화문광장 공사, 시민의견 수렴 다시 거친후 결론 짓기로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