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 국내총생산(GDP)이 전년보다 두 계단 오른 세계 10위라고 국제통화기금(IMF)이 평가한 건 사실이다. 수출 원자재 값이 떨어지면서 앞서 있던 브라질, 러시아가 4∼5%대 마이너스 성장을 하는 동안 한국은 1% 남짓 감소에 그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상황 변화에 신속히 대응한 수출기업들의 노력과 원화 강세의 영향이 큰 만큼 정부 공으로 내세우는 건 민망한 일이다. 4차례 추경을 편성해 돈을 푼 탓에 나랏빚이 폭증하는데 ‘신용등급 유지’를 자랑한 것도 적절치 않다. 한국 국가채무비율은 신용평가회사 피치가 신용등급 강등 기준으로 사전 경고한 46% 선을 올해 안에 넘어선다.
이른바 ‘포용성장’의 성과로 자랑한 최저임금 인상, 주 52시간제는 코로나19까지 겹쳐 부작용이 극심하다. 2018, 2019년 2년 만에 30% 가까이 오른 최저임금은 자영업자에겐 인건비 급증에 따른 폐업, 저소득층에겐 실직의 고통을 안겼다. 올해 들어 50인 이상∼300인 미만 사업장에 주 52시간제가 시행되자 소득이 준 근로자들이 퇴사해 작은 회사로 옮기거나 택배 알바에 나서고 있다. 정부 지원을 빼면 최하위 20% 가구의 근로소득이 줄어 최상위층과 격차가 커지고 있는데도 소득분배가 나아졌다고 평가한 건 현실을 왜곡하는 것이다.
“국민을 아무리 개돼지로 안들…” 文캠프 출신 변호사 중수청 비판
‘尹 태도’ 지적한 정세균에…김경율 “삼권분립 엿바꿔 드셨나”
윤석열 “중수청 설치, 檢폐지 시도”… 3일 대구 방문해 추가메시지 낼듯
홍준표 “공수처 이어 중수청 설치? 文 수사 두려워서”
윤석열 “검수완박은 부패 판치게 하는 부패완판”
“투기와의 전쟁 文정부…정작 LH는 투기꾼 키웠다” 분노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