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는 내가 항상 무겁다,
나같이 무거운 무게도 내게는 없을 것이다.
나는 내가 무거워/나를 등에 지고 다닌다,/나는 나의 짐이다.
맑고 고요한 내 눈물을/밤이슬처럼 맺혀보아도,
눈물은 나를 떼어낸 조그만 납덩이가 되고 만다.
가장 맑고 아름다운/나의 시를 써보지만, 울리지 않는다-금과 은과 같이는,
(…)
내 속에는 아마도/납덩이가 들어 있나부다,
나는 납을 삼켰나부다,/나는 내 영혼인 줄 알고 그만 납을
삼켜버렸나부다.
참회의 시인이라면 윤동주를 떠올리게 마련이지만, 김현승 시인 역시 그에 못지않은 ‘참회의 대가’다. 윤동주가 풋풋하다면 김현승은 보다 어른스럽고, 더 종교적이다. 다만 쨍하게 맑고 투명하다는 것이 두 시인의 공통점이자 장점이 된다.
참회는 더러운 것을 제거하는 일을 말한다. 우리는 더러운 것을 물로 지운다. 그런데 시와 종교에서는 더러움을 오직 눈물로만 닦아낸다. 작은 눈물방울로 온몸과 온 가슴의 더러움을 적시고, 지우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참회는 늘 오체투지처럼 온몸으로, 간절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끝에는 오직 깨끗함만이 남는다.
제목의 ‘연(鉛)’이란 흑연같이 푸르거나 어두운 물질, 혹은 납을 의미한다. 시인에게 있어 납처럼 무겁고 어두운 존재는 자기 자신이다. 이 사정이 시인 한 사람에게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시는 보편성을 획득한다. 우리는 “나는 나의 짐이다”라는 구절에서 한참 머문다. 나이를 먹어갈수록 이 말이 새삼 무게를 더한다. 매일 아침 일어나기 힘든 건 피로의 문제가 아니라 나를 지고 가는 나의 고단함 때문이었나 보다.
나민애 문학평론가
조수진, 고민정 저격 “왕자 낳은 조선 후궁도 이런 대우 못받아”
백운규 ‘원전 즉시 가동중단 지시’ 인정… 檢, 이르면 27일 영장 청구
검찰, 최강욱 의원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기소
[단독]안철수, 국민의힘에 입당 관련 의견 전달
김종인 “文 정권 4년, 불공정이 세상 뒤덮어”…기자회견서 맹폭
檢, ‘이용구 폭행 부실수사 의혹’ 서초署 압수수색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