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8·25합의 이후]
부상자 2명 등 8명 전원 포상 추진… 전역연기 병사들엔 ‘취업추천서’
북한의 서부전선 비무장지대(DMZ) 지뢰 도발로 부상을 당한 하재헌(21), 김정원 하사(23)가 무공훈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육군 관계자는 28일 “1군단에서 하 하사와 김 하사를 포함해 4일 당시 수색작전을 펼친 8명의 장병에 대한 포상을 건의했다”고 밝혔다. 당시 이들이 지뢰 폭발이라는 긴박한 상황에서 침착하게 대응했던 점을 감안해 포상 중에서 무공훈장 수여로 결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군인이 받을 수 있는 훈장은 무공훈장(전시·준전시)과 보국훈장(평시) 두 가지다. 2010년 천안함 폭침 이후 상훈법을 개정해 전시에 준하는 비상사태에서 임무수행을 한 경우에도 무공훈장 수여가 가능하다. 육군은 당시 부상자를 후송했던 지원병력 등에 대해서는 표창을 건의한 상태다.
김요환 육군참모총장은 이날 서울 국방부 청사 내 육군회관에서 남북 군사적 대치 상황에서 전역을 연기한 장병 86명과 오찬을 함께했다. 지금까지 전역을 연기한 장병은 총 161명이다. 김 총장은 이들에게 취업추천서를 전달하며 “어려운 복무 여건에서 전역을 미루는 게 쉽지 않은 결정이다. 여러분의 용기가 이번 위기를 극복한 원동력”이라고 격려했다.
7사단 소속의 김창대 병장(21)은 “지뢰 도발 사건에서 우리 군이 침착하게 대응한 모습을 본 뒤 두려움을 떨쳐내고 ‘나도 맞설 수 있다’는 용기를 갖게 됐다”고 말했다. 같은 사단 소속의 정성원 병장(24)은 “위기의 순간에 전우를 버리고 갈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군복에 붙어 있는 태극기를 보며 더욱 결의를 다졌다”고 밝혔다.
북한과 일전을 각오하고 ‘출정서’를 쓴 병사도 있었다. 21항공단 507항공대대 조우신 병장(21)은 21일 부모님께 출정서를 쓰면서 “아들이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더라도 슬퍼하지 마세요”라고 각오를 다지기도 했다.
이날 오찬을 함께한 육군 김한태 정보작전 1차장(준장)은 “이들을 보면서 요즘 젊은이들이 안보의식이 약하다는 생각을 버리게 됐고 스스로도 자신을 다잡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댓글 22
추천 많은 댓글
2015-08-29 06:17:42
만세! 남로당들은 꿈을 깨고 싶겠지? 그래도 대한민국 사람들이니까 그렇단다 재인아 니들은 남조선사람들이지?
2015-08-29 10:22:31
전교조에 의해 판단력이 흐려져 애국정신이 상실된 상황의 청년들이 이번의 북괴도발에 구국의 정신을 발휘한 것은 가장 값진 행동이며 국가장래를 밝게 하는 동시에 자신들의 삶에도 희망을 줄 것이라 생각됩니다.
2015-08-29 11:57:14
그렇습니다.총을 잡고 북을 향해 국가를 지키고 있다는 그 자부심은 42년전이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군요! 탄창이 빈 카빈 소총을 들고 어둠이 내라는 산에서 조금만 더 수색할 시간을 달라던 전우여!오늘 이러한 후배와 아들이 있으니 역시 우리나라는 찬란한 역사민족 국가로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