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나미 한국인 추가 사망자 많아야 3~4명

  • 입력 2005년 1월 20일 15시 11분


코멘트
지난달 26일 남아시아를 강타한 지진해일(쓰나미·津波)로 인한 한국인 추가 사망자는 5명 미만일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소재 미확인자 40여명은 이번 쓰나미와 상관없이 1년 이상 소식이 두절됐거나 아직 귀국 날짜가 충분히 남아 있어 살아 있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본보가 9일 입수한 '남아시아 지진해일 소재 미확인자' 명단에서 소재 미확인자 90명에게 개별 전화 통화한 결과 밝혀졌다.

20일 현재 소재 미확인자는 태국 20명, 인도 6명, 인도네시아 5명, 기타 7명 등 38명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명단을 입수한 이후 열흘 동안 소재 확인 신청이 9건 늘어나 전체 소재 미확인자는 47명으로 늘어났다.

외교통상부가 19일 밝힌 소재 미확인자는 모두 39명이다. 사망자와 실종자는 각각 12명, 18명으로 4일 이후부터 변동이 없다.

▽실종 추정자는 5명 미만=지난해 11월 22일 시리아로 배낭여행을 떠난 노모 씨(33·여)는 쓰나미가 일어나기 이틀 전인 지난해 12월 24일 집으로 전화를 했다.

노 씨는 "비행기 표 끊고 바로 오늘 들어갈게"라고 말했지만 그날 한국에 도착하지 않았다. 더 이상 연락도 없었다. 노 씨의 어머니는 쓰나미 뉴스를 본 뒤 딸의 안부가 걱정돼 실신까지 했다.

대만에서 영어 강사를 했던 오모 씨(27·여)는 지난해 12월 23일 필리핀으로 떠났다. 오 씨의 아버지는 "딸이 대만에서 1년간 번 돈으로 필리핀, 인도네시아를 시작으로 세계 일주를 하고 오겠다고 말했다"며 "쓰나미 발생 직전에 필리핀으로 떠난 게 마음에 걸린다"고 말했다. 한 달에 두세 번 정기적으로 연락했던 오 씨는 쓰나미 이후 연락이 끊어졌다.

2001년부터 리조트 사업차 태국을 자주 드나들었던 송모 씨(38)도 지난해 12월 25일 한국에 전화한 게 마지막이었다. 출입국 기록을 확인한 결과 송 씨는 지난해 12월 5일 태국으로 입국한 뒤 아직 태국을 떠나지 않았다.

송 씨의 어머니 지모 씨는 17일 본보와의 전화 통화에서 "아들이 리조트 사업을 둘러보기 위해 태국으로 갔기 때문에 바닷가 근처에 있지 않았겠느냐"며 "지금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서 DNA 검사를 받고 돌아가는 길"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지진해일 직전까지 정기적으로 연락을 했으나 그 이후 갑자기 소식이 끊어졌다면 실종일 가능성이 높다. 리조트 사업이나 여행을 목적으로 남아시아 해변을 방문해도 쓰나미 피해자일 확률이 높다. 하지만 이 경우는 38명 가운데 서너 명에 불과했다.

▽대부분은 생존 추정=국사 교사인 강모 씨(51·여)는 유적지를 답사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24일 인도로 갔다. 강 씨의 여동생은 "언니가 여행 중일 때는 1달 이상 연락하지 않는 게 일반적"이라며 "바닷가 휴양지로 갈 리가 없는데다 귀국 날짜도 이달 29일이어서 큰 걱정은 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임모 씨(44)는 대만과 태국 등지에서 가이드를 하고 있다. 임 씨의 형은 "2002년 태국 방콕으로 가이드를 하러 간다고 연락 왔다"며 "그 이후 2년 이상 소식을 듣지 못했다"고 밝혔다. 임 씨가 해외에서 생활한 지는 이미 10년이 지났다.

본보가 확인한 소재 미확인자 38명 가운데 20여명은 이미 1년 이상 연락이 두절된 사람들이었다. 나머지는 해외여행 도중에 가족에게 잘 연락하지 않을 뿐 아니라 귀국 날짜도 여유가 있었다. 가족들도 일단 소재 미확인자 신청은 했지만 크게 걱정하지 않는 눈치였다.

일본이나 중국 등 지진해일과 상관없는 지역으로 여행간 경우는 대부분 무사히 돌아왔다. 태국에서 가이드를 하고 있는 경우도 십중팔구 무사했다. 본보 기자가 태국 푸껫 현지에서 확인한 결과 푸껫의 한국 가이드들은 모두 이번 쓰나미 피해를 입지 않았다.

▽일부 얌체족도=19일 현재 외통부 영사과에 접수된 소재확인 요청 건수는 1437건. 이 중에는 개인적은 이유로 신고한 경우도 있었다.

이모 씨(50)는 태국 골프장에서 일하다 사기 건으로 도주 중이다. 신고인은 기자의 전화를 받자마자 끊어버렸다.

주태국 한국대사관 사이버민원실에는 "사기꾼 최명수를 잡아 주셔요"와 같은 글도 올라와 있다.

대사관 관계자는 "소재 미확인 신고자가 1400명을 넘어섰지만 1300명 이상은 무사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신고자 가운데 허수가 너무 많아 실제 실종자 수색 작업까지 영향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방심은 금물=한국 정부는 19일 국과수 법의학 전문가 2명을 추가로 푸껫에 파견했다. 한국에서 소재 미확인자 가족의 DNA 자료를 채취해 현지에서 발견된 시신의 DNA 샘플과 대조해 보기 위해서다.

푸껫에 마련된 대책본부도 이달 말까지 계속 운영할 방침이다. 주태국 방콕 대사관 직원과 한국국제협력단(KOICA) 단원 등 1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소재 미확인자가 대부분 살아있는 것으로 추정되더라도 방심은 금물이다.

지난해 12월 25일 여권을 갱신하기 위해 태국으로 입국한 뒤 소식이 끊어진 인도 유학생 하모 씨(38)의 여동생은 "대사관에 소재 미확인 신고를 하자 직원이 오빠의 출입국 기록을 알아봐 주겠다고 말했다"며 "하지만 지금까지 한 번도 대사관측에서 연락 오지 않았다"고 털어놨다. 하 씨는 "무작정 태국이나 인도로 갈 수도 없어 어떻게 해야 할지 너무나 막막하다"고 덧붙였다.

박형준기자 loveso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