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형남 기자] 중국 최고지도자 鄧小平(등소평)의 사망은 진전기미를 보이던 黃長燁(황장엽)북한노동당비서 망명교섭에 일시나마 제동을 걸게 됐다. 중국의 정책결정자들이 당분간 등소평 장례절차에 몰두, 황비서 문제를 미뤄놓을 것이기 때문이다. 외무부 柳光錫(유광석)아태국장도 20일 『중국 고위층의 정치적 결단이 지장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등소평 사망이 망명협상을 약간 지체시킬뿐 중국측이 준비해온 망명처리원칙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외무부는 보고 있다. 중국의 최종단안을 당장 받아내기는 어렵겠지만 실무협상은 계속되리라는 기대다.
이런 전망은 등소평 사망이전에 중국측이 황비서 망명에 관해 진전된 반응을 보였기 때문에 더욱 무게를 갖는다.
중국 외교부 唐家璇(당가선)부부장은 19일 鄭鍾旭(정종욱)주중한국대사를 만났다. 지난 15일이후 처음이었다. 이들의 면담내용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양측은 황비서의 한국입국 경로와 시기 등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중국은 황비서 망명이후 처음으로 신화(新華)통신과 중앙텔레비전(CCTV) 등 관영언론을 통해 황비서가 한국대사관에 있다는 사실을 보도했다. 망명처리방향이나 황비서 자유의사 확인여부 등은 언급하지 않았으나 북경(北京)소식통들은 『중국정부가 결단을 내릴 단계에 이르렀다』고 보도의 의미를 해석했다. 사회주의국가 관영언론의 보도관행 때문이다.
외무부는 특히 중국측이 「국제관례에 따라 관련시설(한국대사관 지칭)을 경호하고 있다」고 언급한데 주목, 국제관례에 따른 처리를 요구하는 한국의 입장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커졌다고 분석한다. 오는 22,23일 한국을 방문한뒤 일본을 거쳐 24,25일 중국에 가는 미국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이 황비서 망명문제에 개입할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