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개봉하는 봉준호 감독(사진) 영화 ‘미키 17’에서 주인공 미키(로버트 패틴슨)는 17번 죽고 되살아난다. 미국 작가 에드워드 애슈턴의 원작 장편소설 ‘미키 7’(황금가지)에서 미키는 7번 죽었지만, 영화에선 10번이나 더 죽는 설정으로 바뀌었다.
영화 ‘미키 17’ 표지. 워너브러더스 제공봉 감독이 미키의 죽는 횟수를 늘린 건 인간을 소모품으로 여기는 자본주의의 비인간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로 보인다. 위험한 임무나 생체 실험에 투입됐다가 죽으면 복제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는 ‘익스펜더블(expendable·소모품)’의 비극을 극화한 것이다. 열차 칸에 따라 다른 삶을 살아가는 모습을 통해 계급 구조를 지적한 ‘설국열차’(2013년)가 떠오르는 대목이다. 봉 감독도 지난달 20일 한국 간담회에서 “더 다양한 죽음을 통해 노동자 느낌을 표현하고 싶었다”고 했다.
‘미키 17’에서 마샬(마크 러펄로·가운데)은 ‘설국열차’ 윌포드처럼 현실 속 지배계급을 상징한다. 워너브러더스 제공봉 감독이 위험한 업무에 노출된 노동자의 비애를 ‘블랙 유머’로 승화한 점도 눈여겨볼 점이다. 미키는 동료들로부터 “죽는 건 어떤 기분이냐”는 농담을 자주 받는다. 미키는 죽을 때마다 체념하는 듯한 표정을 짓는데, 관객에게 묘한 웃음을 선사한다. 어쩐지 애잔하고 ‘웃픈(웃기고 슬픈)’ 미키의 모양새는 미국 아카데미 작품상 등 4개 부문을 휩쓴 영화 ‘기생충’(2019년)의 기우(최우식)를 떠올리게 한다.
원작 소설에서 미키의 직업은 역사 교사다. 인류가 외계 행성 ‘니플하임’으로 이주하는 이유를 깊이 고민한다. 또 인류가 니플하임으로 이주하는 과정을 ‘디아스포라(이민)’ 선상에서 생각한다. “디아스포라를 설명할 방법이 달리 있을까? 테라포밍이나 예방 접종 걱정이 없고 지각이 있는 토착 생명체와 전쟁할 필요도 없는, 인류가 처음부터 보금자리로 삼아 왔던 단 하나의 행성을 떠나 니플하임 같은 장소로 이동하는 현상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반면 영화에서 미키는 마카롱 가게를 창업했다가 망한 자영업자 출신이다. 익스펜더블이 실제로 무슨 일인지도 알지 못한 채 지원한다. 지나가는 여성에겐 “어떤 샴푸를 쓰냐”고 치근덕거릴 정도로 성에 집착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자신을 억압하고 조롱하는 지배자에겐 한마디도 못 하는 ‘찌질이’이기도 하다.
소설에서 행성 이주를 이끄는 독재자 ‘마샬’은 군인처럼 냉정한 인물이다. 미키 7과 미키 8이 동시에 존재하는 ‘멀티플’ 상황을 인지한 뒤 “자네들은 괴물이야. 지금 자네들과 이야기하는 이유는 (둘을 죽이고) 아홉 번째 미키를 만들어야 할지 결정하기 위해서야”라고 단호히 말한다. 미키를 죽여야 하는 이유도 외계 생명체와의 교류 등 나름 합리적 이유가 있다.
하지만 영화에서 마샬(마크 러펄로)은 선동적이고 노골적인 정치인에 가깝다. “니플하임을 순수한 백색 행성으로 만들겠다”고 인종주의와 파시즘을 대놓고 드러낸다. 해외에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풍자라는 평가가 나왔는데, 이에 대해선 호불호가 엇갈린다.
영화에선 마샬이 부인에게 잡혀 살며, 마샬 부인은 각종 소스에 집착하는 괴팍한 캐릭터로 묘사된 점도 소설과 다르다. 봉 감독은 16일(현지 시간) 독일 베를린 국제영화제에서 “정치적 은유라기보단 소스를 정말 사랑하는 것으로 봐달라”며 “귀여운 독재자, 웃긴 독재자 부부”라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