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미술 너머의 사람을 만나다[청계천 옆 사진관]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12월 6일 20시 05분


코멘트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조선의 승려 장인(匠人)’

1775년 통도사에서 화승 수 십명이 모여 석가모니 부처의 생애를 여덟장면에 나누어 그린 대작.이번에 처음으로 밑그림 4점과 통도사 팔상도 4점이 함께 전시된다.
1775년 통도사에서 화승 수 십명이 모여 석가모니 부처의 생애를 여덟장면에 나누어 그린 대작.이번에 처음으로 밑그림 4점과 통도사 팔상도 4점이 함께 전시된다.
조선시대 승려장인들이 공동으로 불상과 불화를 만든 것은 다른 나라에서는 보기 힘든 조선 불교 미술의 특징이다. 관람객들이 전시된 조선 불상을 꼼꼼히 살펴보고 있다.
조선시대 승려장인들이 공동으로 불상과 불화를 만든 것은 다른 나라에서는 보기 힘든 조선 불교 미술의 특징이다. 관람객들이 전시된 조선 불상을 꼼꼼히 살펴보고 있다.
현재 전국의 사찰에는 수 많은 불상과 불화가 있습니다. 최근에 만들어진 것도 많지만 국보나 보물급등 다채롭고 화려하며 수준 높은 불상과 불화는 조선시대 특히 임진왜란(1592-1598) 이후 조선 후기에 만들어져 전해져 오는 것들입니다.

이것들을 만든 이들이 바로 조선의 승려장인들입니다. 이들은 출가한 불교의 승려이자 동시에 기예를 지닌 장인들이었습니다. 경건한 수행과 정진을 바탕으로 불교미술의 경지로 한 단계 끌어올린 예술가였습니다. 조선시대에는 건축,조각,회화,불구(佛具),기와 판각등 여러 분야의 승려장인이 있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신앙의 대상인 부처를 형상화하는 조각승(彫刻僧)과 화승(畵僧)이 중심이 되었습니다. 그들은 개인이 아니라 공동으로 협력하여 불상과 불화를 조성하였습니다.

경북 예천 용문사에서 337년만에 서울 나들이에 나선 ‘용문사 목조 아미타래여래 삼존좌상과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을 관람객들이 보고 있다.-목각설법상 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조각승 단응을 비롯해 승려장인 아홉명이 공동으로 제작했다.
경북 예천 용문사에서 337년만에 서울 나들이에 나선 ‘용문사 목조 아미타래여래 삼존좌상과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을 관람객들이 보고 있다.-목각설법상 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조각승 단응을 비롯해 승려장인 아홉명이 공동으로 제작했다.
경북 예천 용문사에서 337년만에 서울 나들이에 나선 ‘용문사 목조 아미타래여래 삼존좌상과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목각설법상 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조각승 단응을 비롯해 승려장인 아홉명이 공동으로 제작했다.
경북 예천 용문사에서 337년만에 서울 나들이에 나선 ‘용문사 목조 아미타래여래 삼존좌상과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목각설법상 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조각승 단응을 비롯해 승려장인 아홉명이 공동으로 제작했다.
찬란하게 꽃 피웠던 조선시대 후기 ‘불교미술 너머의 사람들인 승려이자 장인이었던 승려장인들을 만나는’ 특별기획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7일 개막해 내년 3월6일까지 열리는 ‘조선의 승려 장인’ 특별전시입니다.

특별전은 국보2건, 보물13건, 시도유형문화재 5건등 총 145건이 출품된 대규모의 조선시대 불교미술전입니다. 전시된 작품의 제작에 관여한 승려 장인은 모두 366명입니다.

18세기를 대표하는 화승 의겸을 비롯해 12명의 화승이 1729년에 완성했다.화면 전체를 장식한 화려한 금니문양을 비롯한 섬세한 표현은 왜 의겸을 ‘붓의 신선’이라고 부렀는지 보여준다
18세기를 대표하는 화승 의겸을 비롯해 12명의 화승이 1729년에 완성했다.화면 전체를 장식한 화려한 금니문양을 비롯한 섬세한 표현은 왜 의겸을 ‘붓의 신선’이라고 부렀는지 보여준다
화련을 비롯한 화승13명이 화엄경의 방대한 가르침과 무한히 겹쳐진 불교 세계관을 한 화면에 담아냈다.
화련을 비롯한 화승13명이 화엄경의 방대한 가르침과 무한히 겹쳐진 불교 세계관을 한 화면에 담아냈다.
특히 17세기 중반부터 18세기 초에 활동한 조각승 단응(端應)이 1684년(숙종10년)에 불상과 불화를 결합하여 만든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보물)은 이번 전시를 위해 337년만에 처음으로 사찰 밖으로 나왔습니다. 아울러 붓의 신선으로 불렸던 18세기 전반의 화승 의겸(義謙)이 1729년(영조5년)에 그린 ’해인사 영산회상도(보물)‘,18세기 중후반에 활동한 화승 화련(華蓮)이 1770년(영조46년)에 그린 ’송광사 화엄경변상도(국보)‘의 서울전시는 처음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을 포함한 조선 후기 불상.보살상 7점과 설치미술가 빠키(vakki)의 작품 ‘승려 장인 새로운 길을 걷다’를 함께 전시했다. 이 공간에서는 과거와 현재가 만나 미래로 나아가는 불교미술의 새로운 면모와 아름다음을 느낄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을 포함한 조선 후기 불상.보살상 7점과 설치미술가 빠키(vakki)의 작품 ‘승려 장인 새로운 길을 걷다’를 함께 전시했다. 이 공간에서는 과거와 현재가 만나 미래로 나아가는 불교미술의 새로운 면모와 아름다음을 느낄 수 있다.
현재까지 파악된 조선 후기의 조각승은 1천여명이고 ,화승은 2천4백여명에 이른다고 합니다. 이 처럼 많은 수의 승려 장인이 활약했던 조선 후기는 우리나라 불교미술의 르네상스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번 특별전은 조선의 승려 장인과 이들이 만들어낸 불교미술의 아름다움을 감상하고 그 가치와 의미를 새롭게 느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김동주 기자 zo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