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주최로 22일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에서 열린 ‘산업기술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간담회’ 참석자들은 규모를 키우려는 스타트업일수록 국제협력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차세대 반도체 소재를 개발하는 아이브이웍스의 노영균 대표는 “10년 전 질화갈륨이라는 차별화된 소재 개발을 시작했을 때만 해도 국내에는 관련 연구자들이 별로 없어서 기술을 검증하고 평가해 줄 고객사를 해외에서 찾아야 했다”며 “첨단 기술을 선도하는 회사, 권위 있는 연구자들과의 접점을 만드는 데 국제협력이 필수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제공동R&D의 경우 기본적으로 정부 간 합의에 기반해 추진된다. 해외 파트너는 신뢰를 바탕으로 사업에 임하며, 현지 에서 마케팅·홍보 활동을 펼치거나 규제 당국의 까다로운 인증과 허가를 얻는 데에도 ‘정부 보증 사업’이라는 꼬리표는 든든한 지원군이 돼 준다.
인공지능(AI) 기반 의료기기 개발기업인 아이도트 임윤재 본부장은 “정부가 지원하고 현지에 협력 파트너가 있는 기업이라는 이미지가 해외 규제 당국과 협의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이점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임 본부장은 국제협력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전문기관이 적극적으로 역할해 줄 것을 주문했다.
이한빈 대표는 “스타트업 입장에선 안정적 수요처를 확보하기까지 발생하는 매몰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며 “기술력이 좋아도 정작 수요처와 연계되지 못해 빛을 못 보는 기업이 많은데, 수요연계형 방식의 국제공동R&D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대폭 늘어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태곤 한양대 ERICA 캠퍼스 스마트융합공학부 교수는 해외 반도체 연구소에 파견돼 연구했던 인재가 국내 중소기업에 취업한 뒤 해당 연구소 주재원으로 간 사례를 소개하면서 해외 연구 현장을 경험한 인재들이 국내 산업에 기여하는 선순환 구조를 활발하게 하자고 제안했다. 김 교수는 “국제협력이 더 매력적으로 보이려면 기술 교류 못지않게 인력 교류가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재외한인공학자 네트워크(K-TAG)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주문했다.
민병주 KIAT 원장은 “지난 1년간 외국을 다니면서 우리나라와의 기술협력을 우호적으로 고려하는 분위기를 많이 느꼈다”며 “KIAT가 10여 년간 쌓아 온 신뢰 기반 네트워크와 두터운 전문성을 바탕으로 앞으로 국제기술협력 사업을 더욱 체계화하고 전략적으로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원홍 기자 bluesk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