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슈&뷰]탄소중립의 길, 공학교육 혁신으로 열어야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7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김종민 영국 케임브리지대 전기공학과 교수
김종민 영국 케임브리지대 전기공학과 교수
14일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2030년까지 유럽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55% 감축하기 위한 탄소국경세 제도(Fit for 55)를 발표했다. EU에 따르면 2035년부터 디젤 등 내연기관과 하이브리드 자동차 판매도 금지된다. 1997년 교토의정서에서 제기됐던 탄소저감이 마침내 현실화된 것이다.

일본과 중국은 정부 기업 학계가 협력하며 이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일본은 분산형 소규모 에너지를 활용한 가상발전소(VPP)와 수소에너지 시스템 구축에, 중국은 수소산업 육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해 12월 한국 정부도 ‘2050 탄소중립 추진 전략’을 발표하며 탄소저감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그러나 한국의 주요 산업구조와 발전원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제조업과 화력발전이어서 가야 할 길이 멀다. 이산화탄소는 배출되면 사라지지 않고 대기에 누적된다. 단기간에 효과적인 탄소저감을 위해서는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한 학계의 실효성 있는 기술 개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내년 3월 개교하는 세계 최초의 에너지 특화 대학인 한국에너지공대에 거는 기대가 크다. 이 학교는 에너지 5개 분야(인공지능, 신소재, 차세대 그리드, 수소에너지, 환경·기후기술)를 중점 연구하며 산학연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산업 내 문제를 해결하는 현장형 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의 올린공대 및 미네르바스쿨 같은 해외의 대표적인 혁신대학처럼 지식 전달이 아닌 프로젝트 중심의 현장형 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린공대는 2005년부터 지금까지 ‘SCOPE’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화이자 등 기업이 제시한 문제를 4학년 학생들이 해결하는 프로그램이다. 매년 1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이 현장형 교육의 강점은 산업계와 대학을 직접 연결해 즉각적인 문제 해결이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탄소저감의 신속한 해결책이 필요한 현재, 두 혁신대학이 선보인 산업-대학 간의 윈윈 모델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위다. 탄소 중립을 실천하려면 정부-산업계-학계 간 협력이 절실하다. 정부와 공공기업, 지방자치단체의 공동지원을 받으며 현장형 교육을 목표로 한 한국에너지공대가 지구온난화 해결책을 이끌어내는 산실이 될 수 있다. 정부-산업계-학계 공동의 ‘현장형 탄소저감 신기술 개발·적용 플랫폼’이 필요한 현재 한국에너지공대가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신기술 연구개발 플랫폼으로 자리 잡길 기대해본다.



김종민 영국 케임브리지대 전기공학과 교수
#탄소중립의 길#공학교육 혁신#온실가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