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접종 여부는 여전히 논란
코백스 화이자 물량은 시기 불투명…정은경 “러 개발 백신 도입도 검토”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국내 도입 및 접종 일정이 사실상 확정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중 세부 일정이 나온 건 처음이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8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브리핑에서 “아스트라제네카 개별 계약 물량 150만 도스의 2월 마지막 주 공급이 확정됐다”며 “유통이나 배송에 대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대로라면 아스트라제네카가 국내 첫 접종 백신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달 중순 들어올 예정이던 코백스 퍼실리티(국제 백신 공유 프로젝트)의 화이자 백신 도입 시기가 여전히 불투명한 탓이다. 방역당국은 “이달 중순 이후 국가별 백신 공급이 이뤄진다는 코백스 계획에 변동은 없다”면서도 “정확한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백신 수급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자 추가 백신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정 청장은 러시아 백신인 스푸트니크V 도입을 검토하느냐는 질문에 “추가 백신에 대한 확보 필요성, 그리고 내용들에 대해 계속 검토는 해나갈 예정”이라고 답했다. 그동안 러시아 백신에 대해 방역당국이 밝힌 부정적 의견과는 다소 분위기가 바뀐 설명이었다. 하지만 방역당국은 러시아 백신 도입을 당장 추진하는 건 아니라고 추가로 밝혔다.
최종 결정 과정에서 고령층 접종을 제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 총리도 이날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고령층 접종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런 경우도 있을 수 있다”고 답했다. 정 총리는 “그런 제한이 있으면 다른 백신을 접종하면 된다. 큰 문제는 아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효과 논란에도 불구하고 고령층 접종을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날 방대본 브리핑에 참석한 최원석 고려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난해 12월까지 수집된 자료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전체적인 효과에서 (일반 성인과 고령층 간에) 크게 다르지 않은 경향성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남재환 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교수는 “국내에 도입하려는 백신 5종은 최소 90%에서 거의 100%까지 항체 생성률을 보여주고 있다”며 “누군가 내게 80대 어머님께 아스트라제네카를 맞게 할 거냐고 묻는다면 나는 당연히 맞으시라고 권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image@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김소민 기자
[김순덕의 도발]미안하지만 文보유국과 비교되는 미얀마
“이재용, 정부에 화이자 회장 연결해줘 협상 실마리”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공감의 힘[벗드갈의 한국 블로그]
오세훈 ‘박원순 장례식 책임자’ 문책인사에…시의회, 이례적 “유감”
오죽하면 1249쪽을 통째로 넘겼을까[오늘과 내일/김승련]
[단독]檢, 공수처 ‘허위 보도자료’ 의혹 본격 수사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