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 남은 병상 전북 1개뿐
전문가들 “확산세 막지 못하면 행정-의료 대응 한계 올수도”

2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하거나 해외에서 입국해 2주간 자가 또는 시설에서 격리 중인 사람은 26일 현재 6만2409명이다. 전날보다 1568명이 늘었다. 해외 입국 격리자가 2만3841명, 국내 감염자 접촉 격리자가 3만8568명이다. 2주 전인 12일만 해도 3만3075명으로 지금의 절반 수준이었다. 국내 발생 자가 격리자 수만 보면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2차 유행 당시 확진자 수가 정점(441명)을 찍었던 8월 27일(3만3109명)보다 많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은 “최근 활동량이 많은 젊은층 확진자 증가가 접촉자 수 증가로 이어졌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격리자 수가 증가하면 이들을 관리 감독해야 하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방역 행정에 부하가 걸릴 수 있다. 각 지자체들은 격리자가 자택이나 지정된 시설에 제대로 머물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정기적으로 건강 상태도 파악해야 한다. 해외 입국자 중 일부는 입국자 전용 격리시설에 묵는다는 것을 감안해도 시군구당 평균 200명가량의 격리자를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다.
당장 사용할 수 있는 중증 환자 치료 병상은 26일 기준으로 전국에 100개가 남아 있는데 수도권에 44개가 몰려 있다. 전북에는 남아 있는 중환자 병상이 하나뿐이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2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강원권, 호남권, 경북권의 경우 확보된 병상이 적어 지역 내에서 확진자가 급증할 경우 언제라도 병상이 부족해질 수도 있는 상황”이라며 “지역별로 중증 환자 증가에 대비해 충분한 병상 확보가 필요하다”고 했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젊은 환자 비율이 높다고 해도 확진자 수 자체가
늘어나면 중증 환자의 비율도 늘어날 것”이라며 “보건소나 지자체가 방역 업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더 많은 환자가 발생하면 한계에 이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image@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김소민 기자
[김순덕의 도발]공수처장은 ‘법의 지배’를 말했다
이재영·이다영 ‘학폭’ 폭로 또…“입에 피 머금고 살았다”
국민 과반 “가덕도 특별법은 잘못”…부울경 54%도 부정평가
국민을 위한 정부는 없다[오늘과 내일/홍수용]
국민 53.6% “가덕도 특별법, 잘못됐다”…PK도 54% ‘잘못된 일’
“가난해 따돌림 당한 아들…음식 사준 ‘편의점 천사’ 찾아요”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