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근리 사건’ 현장서 화해-평화를 전한다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11월 3일 03시 00분


코멘트

10일부터 영동군 노근리공원 등서
70주년 기념 글로벌평화포럼
생존 피해자와 유가족 ‘특별 만남’
온-오프라인 ‘평화콘서트’ 등 열려

10∼12일 충북 영동에서 열리는 노근리 글로벌평화포럼은 전쟁의 참상과 교훈, 그리고 평화와 인권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노근리사건을 국내외에 알리기 위한 행사이다. 사진은 노근리 평화공원. 장기우 기자 straw825@donga.com
10∼12일 충북 영동에서 열리는 노근리 글로벌평화포럼은 전쟁의 참상과 교훈, 그리고 평화와 인권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노근리사건을 국내외에 알리기 위한 행사이다. 사진은 노근리 평화공원. 장기우 기자 straw825@donga.com
6·25전쟁 당시 충북 영동에서 미군에 의해 저질러진 민간인 학살 사건인 ‘노근리 사건’ 70주년을 기념하는 노근리 글로벌평화포럼이 영동군 노근리평화공원과 영동복합문화예술회관에서 10∼12일 열린다. 당시 피해자와 참전 미군 유가족의 만남, 평화콘서트, 세계 평화 리더와의 대화 등 노근리와 평화를 주제로 한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

2일 노근리사건 7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에 따르면 첫날인 10일 오전 10시 노근리평화공원 내 교육관에서는 기자회견과 ‘특별한 만남’이 이어진다. 이 자리에는 노근리 사건 생존 피해자와 유가족, 6·25전쟁 참전 미군 유가족, 70주년 기념사업추진위 관계자 등이 참석한다.

양해찬 노근리 유족회장(80)을 비롯한 노근리 사건 피해자 등은 6·25전쟁에 참전했다가 전사한 미군 제임스 엘리엇 중위의 딸인 조르자 레이번 씨(70) 부부와 만나 화해와 치유의 시간을 갖는다. 이어 영동복합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리는 개회식에서는 2011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라이베리아의 평화운동가 리마 보위가 온라인으로 기조연설을 한다. 그녀는 여성이 주도하는 비폭력 투쟁을 통해 라이베리아 내전을 종식하는데 기여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이튿날 오전 9시 반 영동문화예술회관 대강당에서는 ‘평화콘서트’가 온·오프라인으로 열린다. 6·25전쟁에 참전했던 재향군인이자 세계적인 천재 피아니스트 시모어 번스타인이 온라인으로 참여해 전쟁의 아픔을 아름다운 선율로 풀어낼 예정이다. 그의 제자인 백민정 교수가 현장에서 설명을 곁들인다.

노근리 사건의 진실규명과 보도에 공을 세운 AP통신 전 기자를 비롯해 세계 인권평화 신장을 위해 노력하는 국내외 언론인들이 모여 한반도 평화통일 등을 주제로 담론의 장도 연다. 또 ‘재심 전문 변호사’로 널리 알려진 박준영 변호사(2015년 인권부문)와 배우 정우성(2019년 〃) 등 역대 노근리평화상 수상자들이 이 상의 의미와 연혁, 시상 분야(인권, 언론, 문학)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13회째인 올해 노근리평화상 인권부문 수상자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이다.

마지막 날에는 △전쟁과 분쟁의 참혹성, 화해와 치유를 위한 모색 △한반도 평화정착과 평화통일 프로세스 △상호이해와 화해 증진에 필요한 인권 평화교육 △6·25전쟁과 노근리 사건이 남긴 교훈과 의미 등을 주제로 한 4개의 학술행사가 진행된다. 이 밖에 전 세계 평화관련 박물관을 온라인 도슨트(작품설명 안내인) 투어 기법으로 진행하는 특별전도 열린다.

포럼은 당초 50개국 200여 명을 초청해 현장 행사로 열 예정이었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온·오프라인 행사로 진행된다. 모든 프로그램은 노근리 글로벌평화포럼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간 중계된다. 박세복 노근리사건 7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장(영동군수)은 “노근리 평화포럼은 전쟁의 참혹성과 아픔을 넘어 화해와 평화, 미래로 향하는 소중한 발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기우 기자 straw825@donga.com

● 노근리 사건
1950년 7월 25∼29일 북한군 공격에 밀려 후퇴하던 미군이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에서 항공기 기관총 등으로 피란민 대열을 공격해 200여 명의 사상자를 낸 비극적 사건이다. 1999년 9월 AP통신 보도로 사건의 전말이 알려진 뒤 한국 정부는 ‘노근리 사건 희생자 심사 및 피해자 명예회복 특별법’에 따라 신고를 받아 사망 150명, 행방불명 13명, 후유장애 63명 등의 희생자 및 피해자를 확정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