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론 ‘딱한 홍남기 씨’ 계속 나온다[오늘과 내일/허진석]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10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임대차법 졸속 시행에 집 없는 설움 가중
국민 일상 챙기는 게 정부 일… “바꿔라”

허진석 산업2부장
허진석 산업2부장
울화통이 터지고 있다. 전셋집 구하는 사람들 얘기다. 수도권 웬만한 곳에서 같은 동네, 같은 면적의 집에 전세를 살려면 몇억 원을 한번에 감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동네를 바꾸든지 집을 줄여야 한다. 설상가상으로 전셋집 매물은 씨가 말랐다.

서울 마포구에 전세 사는 홍남기 부총리도 속은 그럴듯하다. 집주인이 들어오겠다고 해서 집을 내줘야 한다. 그런데 8월 초에 매도 계약을 한 경기 의왕시 아파트는 세입자가 2년 더 살겠다고 하면서 매수자가 입주를 못 하고 있다. 매수자는 입주해야 받을 수 있는 대출을 못 받았고, 홍 부총리는 잔금을 받지 못했다.

부동산 정책의 엉성함을 방증하는 사례로 홍 부총리 사연에 세간의 관심이 쏠렸다. 더 찬찬히 그 관계인들의 사정까지 유추해 보면 섣부른 정책이 국민 살림살이를 얼마나 고단하게 만드는지 더 잘 드러난다.

우리 중 누군가가 의왕 아파트 매입자의 입장이라고 생각해 보자. 전세를 살다가 대출을 받아 겨우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 잘잘못은 따로 따져봐야겠지만 표면적으로 드러난 것만 보면 계약금 약 9200만 원(아파트 가격 9억2000만 원의 10%로 추산)을 날릴 판이다. 날짜에 맞춰 잔금을 지급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전셋값은 더 뛰었는데, 생돈 같은 계약금까지 잃게 된다면 예전과 비슷한 전셋집에서 살 생각은 꿈도 못 꾸게 된다. 내 집 한번 마련해 보려다 돈을 잃는, 미치고 환장하는 상황인 거다.

우리 중 누군가가 의왕 아파트 세입자라면 또 어떨까. 집주인이 집을 팔겠다고 해서 다른 집을 알아보겠다고 말했다가 막상 전셋값을 알아보니 너무 올라 이사를 갈 엄두가 나지 않았을 수 있다. 그래서 2년을 그냥 더 살겠다고 계약갱신요구권을 행사했다고 치자. 만약 세입자가 처음에는 이사를 나가겠다고 해서 집주인이 매매계약을 체결했다면 국토교통부 설명에 따르면 세입자는 집을 내줘야 할 공산이 크다. 물론 의사 표시를 어떤 방식으로 했는지가 관건인데, 이런 세세한 상황을 따져보려면 당사자 간에 다툼이 생기고, 분쟁조정위원회와 재판정까지 가야 할 수 있다. 어설픈 제도 시행 때문에 2년은 더 살면서도 마음고생에 시달리는 거다.

정부가 의도한 대로 많은 세입자는 별 탈 없이 계약갱신요구권을 행사해 2년을 적은 전세금만 올려주고 더 살게 됐다. 그렇지만 이들도 국민의힘 윤희숙 의원이 국회 연설에서 예견했듯이 2년 뒤에는 꼼짝없이 새 집을 알아봐야 한다. 결국 자신이 살고 싶은 지역에 집을 가진 사람 말고는 누구나 전세금 폭탄을 맞는 것이다. 전세 계약이 만료되는 순서대로 울화통이 터지는 시기만 다를 뿐이다.

이사철을 맞은 요즘 ‘멀쩡히 있던 전세금을 왜 건드려서, 생고생을 하게 만드냐’란 한탄이 자주 들린다. 거슬러 올라가 보면 투기과열지구에서 대출을 받을 때 실거주를 해야 한다는 규제가 없었다면 홍 부총리는 잔금을 받았을 것이다. 집주인이 실거주를 하겠다고 해야 세입자를 내보낼 수 있는 제도가 생기지 않았다면 홍 부총리는 같은 집에서 전세를 더 살았을 수 있다. 그때그때 쏟아져 나온 정책들이 꼬이면서 ‘마포구 홍남기 씨’ 사례가 만들어졌다.

대통령이나 장관이 하는 일이 그렇게 거창한 게 아니다. 한 가정에서 가족들 불편한 것 없나 살피는 일이나 시골 마을 이장이 주민들 불편 없게 소소한 일들 미리 챙기는 것과 본질이 같다.

전세 시장의 불안이 커진 것에 대해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이번 국감에서 죄송하다고 유감을 표했다. 그 직전에 홍 부총리는 신규 전세를 구하는 세입자의 어려움을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했다. 임대주택사업 정책은 장려에서 폐지로 정반대로도 바꿨다. 대전환을 기대한다.

허진석 산업2부장 jameshuh@donga.com
#임대차법#홍남기#울화통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