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뒤에 숨지 말라[오늘과 내일/서정보]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9월 23일 03시 00분


코멘트

중독과 편향으로 얼룩진 SNS, 알고리즘에 대한 신뢰 얻어야

서정보 문화부장
서정보 문화부장
‘형사 콜롬보’는 1970년대 인기를 끌었던 TV 외화 시리즈였다. 배우 피터 포크가 콜롬보 역을 맡은 이 시리즈는 미국에서도 인기였지만 한국에선 성우 배한성 씨의 독특한 콜롬보 목소리가 인상적이었다. 그 시절 드라마 내용을 거의 다 잊었지만 아직도 선명하게 기억에 남는 것이 있다. 영상을 이용한 살인사건인데 대략 이런 줄거리다. 범인은 피해자를 초대해 캐비아 같은 짠 음식을 먹인 뒤 영상을 보여준다. 영상에는 1초에 24컷이 들어가는데, 중간중간 콜라 같은 음료를 마시는 컷을 하나씩 넣는다. 이 컷은 매우 짧기 때문에 육안으로 식별할 순 없지만 피해자에게 무의식중에 음료를 마시고 싶다는 생각을 들게 한다. 이윽고 피해자는 음료를 마시러 나왔다가 이를 예상했던 범인에게 살해당한다는 내용이다. 영상을 간단히 조작해 무의식적 행동을 유발시킨다는 설정이 당시엔 매우 충격적이었다.

새 매체나 플랫폼이 등장할 때마다 이런 무의식적 조작과 관련한 의혹은 늘 제기되는 것이지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쏟아지는 조작 혐의는 여느 때보다 강력하다.

최근 젊은층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소셜 딜레마’는 바로 이 문제를 정면으로 제기하고 있다. 이 다큐는 이들 SNS 업체 전직 임직원들의 고발과 드라마타이즈를 섞어 놓은 형식으로 구성돼 있다.

“우리가 ‘좋아요’를 만들 때는 세상에 긍정성과 사랑을 퍼뜨리는 게 목표였습니다. 오늘날의 10대가 ‘좋아요’를 덜 받아서 우울해하거나 정치적 분극화가 심해지는 것은 우리가 원하는 건 아니었습니다.”

구글과 페이스북에서 일했던 한 엔지니어의 안타까운 토로와 함께 다큐는 미국의 10대 소녀들의 우울증이 SNS가 활발히 쓰이기 시작한 2011∼2013년을 기점으로 62%에서 189%까지 급증했다는 점을 제시한다.

거대한 정보기술(IT) 공룡으로 변한 SNS 기업들은 광고 수입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자들의 관심과 시간을 얻는 데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기업들은 강력한 인공지능과 비밀 실험을 통해 사용자의 관심을 끄는 효율적 방법을 알아내고 그들의 입맛에 부합하는 것을 보게 만든다. 사용자는 SNS의 추천 목록에서 선택한다고 생각하지만 선택하도록 교묘히 조종당한다는 것이다.

SNS 기업들은 해당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편향된 영상이나 콘텐츠 위주로 추천하기 때문에 더욱 편향을 강화시킨다. 지구가 평평하다거나 피자가게 지하에 어린이들이 유괴돼 있다는 루머를 믿는 확신범들이 생기고, 정치적 상대방을 인간 이하로 평가하는 극단적 사고는 이런 SNS 환경에서 비롯됐다.

최근 국내에서 한 국회의원이 포털의 기사 배치에 불만을 품고 “카카오 들어오라고 하세요”라고 쓴 문자메시지가 논란이 일자 카카오에서는 “기사 배치는 알고리즘이 하는 것이어서 우리가 관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또 네이버도 추미애 법무부 장관 인물정보 검색 화면이 보통 정치인과 다르게 나온 것이 지적되자 검색 알고리즘의 오류라고 해명했다.

알고리즘에 개발자의 의도가 들어갈 수 있다는 건 누구나 알고 있다. 그래서 알고리즘에 대한 신뢰는 중요하다. 국내 검색시장과 SNS를 장악하고 있는 기업들이 문제가 생길 때마다 알고리즘 뒤에 숨는 것은 사회적 책임을 망각한 ‘비겁한 변명’일 뿐이다. 알고리즘이 문제를 일으켰다고 해서 알고리즘에 “책임지고 문제를 해결하라”고 할 수는 없지 않은가.

서정보 문화부장 suhchoi@donga.com
#형사 콜롬보#알고리즘#중독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