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4·3」50주년 기념사업委공동대표 강만길교수

  • 입력 1998년 4월 6일 08시 34분


“무엇보다 민족의 화합과 미래를 위해서입니다.”

‘4·3 제50주년 기념사업 범국민추진위원회’ 공동대표인 고려대 강만길(姜萬吉·65)교수는 모임의 취지를 이렇게 설명했다. 강교수는 해방 직후 혼란기에 생긴 일을 한국전쟁을 거치며 굳어진 냉전 시각으로만 보아서는 곤란하다고 강조했다.

그 사건으로 생긴 3만명 이상의 희생자를 모두 ‘빨갱이’로 보는 것은 당시 제주 인구가 30만명이 안된 점을 생각해보면 무리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3은 사학자들조차 거론하기 힘들었던 ‘금기’였다. 피해당사자야 오죽했겠는가. 강교수는 이번 일에 적극 나서게 된 것도 그동안 4·3문제를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는 사학도로서의 자책감에서라고 덧붙였다.

“최근 국회에서 진상조사위원회가 구성된 만큼 이제는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사건의 발단이나 원인에 대한 해석을 둘러싸고 행여 감정대립이나 이념 갈등이 빚어지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처음부터 새롭게 진상조사를 하는 것보다는 이미 수차례 민간 차원 혹은 지방정부 차원에서 이뤄진 조사결과를 정부가 공식으로 인정하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당시 무고하게 희생된 양민도 많았음을 국가차원에서 공식으로 인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비록 사건이 터진 시점은 미 군정하였지만 그후 이승만 정부가 진압과정에 참여한만큼 국가의 책임이 있다는 이야기다.

“역사책에 편견없이 사실을 기술한다면 민족 내부의 갈등을 치유하고 화해를 가져오는 길이 됩니다.전쟁까지 치렀던 남북간에도 대화와 왕래를 하고 쌀도 오가는데 4·3을 풀지 못할 이유는 없습니다.”

한국현대사학계의 원로인 강교수는 4·3의 재조명이 ‘민족화합’을 위한 것임을 다시 강조했다.

〈조헌주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