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 1년, 국립대병원 적자 2배로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2월 19일 03시 00분


전국 10곳 작년 5662억 손실 기록
흑자였던 서울대도 1000억 적자
전공의 이탈뒤 진료-수술 감소 영향
“경영 정상화에 상당시간 걸릴 것”

지난해 국립대병원의 적자가 전년도와 비교할 때 두 배가량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의(인턴, 레지던트)들이 수련병원을 이탈한 뒤 진료 등이 감소하면서 적자 폭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중증질환 수술과 응급 수술이 줄면서 지난해 대형병원 수혈도 약 14% 감소했다.

● 의정갈등 이후 국립대병원 적자 2배로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전국 10개 국립대병원에서 받은 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0개 병원 전체 손실액은 5662억 원으로 전년도 손실액(2847억 원)과 비교할 때 약 2배로 늘었다. 10개 병원 모두 적자를 기록했으며 의료 부문에서만 손실액이 9218억 원 발생했다. 병원들은 장례식장 운영, 임대 등 부가 사업에서 얻는 이익을 통해 전체 손실을 줄인 것으로 보인다.

2023년 21억 원의 흑자를 냈던 서울대병원은 지난해 1089억 원의 적자를 냈다. 10개 국립대병원 중 적자 폭이 가장 컸다.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 비대위원장을 지낸 강희경 교수는 “수술 등을 담당할 의료진이 부족해 의정갈등 이전처럼 진료량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른 병원들의 사정도 비슷했다. 충북대병원은 2023년 손실액 46억 원에서 지난해 손실액 418억 원으로 적자가 9배로 늘었다. 전북대병원도 2023년 손실액 87억 원에서 지난해 490억 원으로 손실액이 5.6배로 증가했다.

서울대병원 소속 분당서울대병원은 개별 병원으로는 유일하게 지난해 16억 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다만 흑자 규모는 2023년 흑자(25억 원)보다 줄었다. 분당서울대병원 관계자는 “진료와 수술이 줄어 의료 부문에서는 다른 병원과 마찬가지로 적자가 발생했다”며 “시설 및 장비 투자와 관련해서 법인세 감면 혜택 등을 받아 장부상 흑자를 기록한 것”이라고 했다.

● “의료진 확보 어려워 적자 당분간 이어질 것”

의료계에서는 국립대병원의 적자 행진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 영남권 국립대병원 관계자는 “병원을 떠난 전공의를 대체할 인력을 구하는 과정에서 의료진 급여 상승 등으로 비용이 더 발생했다”며 “의정갈등이 해소돼도 경영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다. 호남권 국립대병원 교수는 “전공의 이탈 이후 수술 규모와 병상 가동률이 30% 하락했다”며 “현재 필수의료 등 일부 진료과목을 중심으로 급여를 더 지급해도 대체 인력을 구하는 게 쉽지 않다”고 전했다.

의정갈등이 해결되지 않으면 국립대병원의 적자 폭은 더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통상 전임의들은 이달 말 계약이 만료돼 병원을 떠나는데 신규 인원을 채우지 못한 병원들은 높은 급여를 제시하고 다른 의료진을 채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전임의는 전공의 과정을 마친 뒤 대학병원에 남아 세부 전공을 배우는 의사이다. 수도권 대학병원 교수는 “이달 말까지 의정갈등이 해결되지 않으면 이후 병상 가동률 등이 더 악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2∼7월 전국 상급종합병원에서 진행한 수혈은 전년도 같은 기간(15만9854건)보다 약 14% 감소한 13만7645건이었다. 김 의원은 “의정갈등 이후 수혈이 줄었다는 것은 중증질환 환자의 수술과 치료가 지연됐을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대병원#적자 행진#의정갈등#전공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