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말기 서화가 이병직 집 ‘오진암’
익선동에서 부암동으로 옮겨 재탄생
‘무계정사’ 터에 자리잡아 붙은 이름

현재는 전시와 세미나, 기획전시 등에 사용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문과 안채 지붕 기와, 서까래 등은 오진암에 있었던 것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 서울 등록음식점 1호가 문화공간으로

무계원에서는 연중 전시회가 열린다. 이달 1∼20일에는 문화예술기획사 ‘팀서화’가 종로문화재단과 공동 기획한 전시 ‘오동나무 뿌리와 복숭아 꽃잎’이 열렸다. ‘팀서화’의 김성우 대표는 “과거 오진암이 무계원으로 재탄생하는 과정을 보면 우리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긴 여정을 보는 듯하다”며 “최근 현대미술에서 집중하는 부분이 ‘정체성 탐구’이다 보니 무계원이 전시 장소로 알맞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한지, 보자기 등 전통문화 관련 전시가 주로 열리던 무계원에서 현대미술 전시가 열린 건 처음이다.
이 전시에는 김지원 화가(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의 작품 ‘맨드라미’, 핵 융합기를 활용해 만든 백정기 작가의 ‘퓨저’, 흙물에 담근 붕대를 고온 가마에서 구워낸 뒤 모양을 내는 서희수 도예가의 ‘무제’ 등 개성 있는 작품들이 다수 선을 보였다.
세미나와 교육 공간으로 쓰이던 사랑채와 창고 역할에 그쳤던 행랑채도 최근 기획 전시에 활용되고 있다. 이날 언니와 함께 전시를 보러 온 안미학 씨(65)는 “예전부터 한옥에 살고 싶다는 꿈이 있어 무계원에 관심이 많다”며 “사랑채 창문을 통해 보이는 뒷마당 경치가 한 폭의 그림 같다”고 말했다. 무계원의 대외협력을 담당하는 종로문화재단 김도현 사원은 “부암동에 놀러 온 외국인 등도 전시를 많이 찾았다”고 설명했다.
● 문턱 낮추고 대중 친화 공간으로
부암동 한옥의 상징이 된 무계원은 최근 운영 방식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 사전 신청자에 한해 무계원에서 전통 혼례를 치를 수 있게 허용한 것이다. 올해만 벌써 전통 혼례 10건이 진행됐다. 취식 금지 규제도 일부 완화했다.
최대한 대관을 허용하는 기조로 바뀌면서 도자기 꽃꽂이, 무용 공연 등 다채로운 문화 행사가 연중 열리고 있다. 비용도 저렴해서 안채, 사랑채, 행랑채는 물론 안마당과 뒷마당까지 2시간 기준으로 4만∼10만 원에 빌릴 수 있다. 무계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시민 접근성을 높이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지원 기자 4g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