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기록을 보고 주말까지 검토… 경찰청 국수본에 이첩할 가능성도”

김 처장은 4일 정부과천청사로 출근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검찰이 송치한 김 전 차관 관련) 사건 기록을 쌓아 놓으면 사람 키를 넘는 수준이라 살펴보는 데 시간이 걸릴 것 같다”며 “기록을 보고 주말까지 검토해 내주 결론을 내겠다”고 말했다.
김 처장은 공수처 직접 수사와 검찰 재이첩, 경찰 수사 등 크게 세 가지 수사 방식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 처장은 “검사의 경우 공수처법 25조 2항에 따라 공수처로 이첩해야 한다는 의무조항을 만들어놨다”면서 “검찰의 제 식구 감싸기 때문에 이 조항이 만들어진 것 같다”고 했다. 다만 김 처장은 공수처의 직접 수사 외에 “지금까지 수사해 온 검찰이 수사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고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이첩할 가능성도 있다”며 “어느 방향이 적절한지는 기록에 답이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김 처장은 타 기관의 재이첩 가능성이 남아 있다고 했다. 김 처장은 “검사 25명과 수사관 40명으로 구성된 공수처 입장에서는 연 3000건에 달하는 판사와 검사 고발을 모두 수사하기 힘들다”면서 “공수처가 다 할 수 없을 테니 피의자, 피해자, 사건 규모와 내용에 비춰 다른 수사기관에 이첩할 수 있다는 게 법 취지”라고 말했다.
신희철 기자 hcshin@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
‘메이드 인 코리아’ 무기로 中 ‘해상민병’ 격퇴 나선 필리핀
홍준표 “권력 영원하지 않아…文, MB·朴 사면하라”
백신 50일 접종률 2.65%… 출구 안보이는 ‘백신 터널’
“강원도에 차이나타운 반대” 청원 57만명 돌파
‘공수처 산파’ 이찬희 “신생아 공수처가 檢상위기관 행세 문제”
이인호 “한미, 北인권 인식차 못좁히면 관계 악화될것”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