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팅이나 원조교제를 통한 퇴폐적인 성문화가 만연하는 것은 물질만능주의로 ‘돈의 노예’가 된 한국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미성년자와의 윤락행위는 어린 학생들에게도 문제가 있지만돈으로 성을사는 성인 남성들에게 더 큰 책임이 있다.
또 여성 입장에서 일방적 개념인 ‘매춘(賣春)’이란 말보다 ‘매매춘(賣買春)’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이명자(부산 동래구 낙민동)
폰팅이나 원조교제를 통한 퇴폐적인 성문화가 만연하는 것은 물질만능주의로 ‘돈의 노예’가 된 한국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미성년자와의 윤락행위는 어린 학생들에게도 문제가 있지만돈으로 성을사는 성인 남성들에게 더 큰 책임이 있다.
또 여성 입장에서 일방적 개념인 ‘매춘(賣春)’이란 말보다 ‘매매춘(賣買春)’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이명자(부산 동래구 낙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