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1차 청문회에 출석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2025.1.22/뉴스1
신원식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12·3 비상계엄 선포 8개월 전에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 안가 만찬에서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비상조치’ 관련 이야기를 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을 피력했다”고 말했다.
신 실장은 11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진행된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7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답변했다. 국회 측이 당시 “윤 대통령이 ‘비상한 조치’ 발언을 했는지” 묻자 “정확한 워딩은 기억 안 나는데 그런 취지의 발언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답했다.
그는 지난해 3월 말~4월 초 삼청동 안가에서 윤 대통령이 마련한 만찬에 자신을 포함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조태용 국정원장,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이 참석해 윤 대통령이 시국 관련 발언을 했다고 전했다.
신 실장은 “(윤 대통령이) 울분까진 아니고 다양한 주제에 대해 말씀하신 것으로 기억한다”며 “(윤 대통령) 혼자서 길게 얘기했다기보다 1시간 동안 대화를 주도했고 저희는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한 자리였다”고 설명했다.
당시 윤 대통령의 발언 관련해서는 “계엄까지 생각은 못 했고 저는 적절치 못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고 했다. 이어 “윤 대통령이 지나가는 말투로 (‘군이 나서서 적극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비슷한 말을 했지만 저를 보고 말씀해서 평소에 제가 알고 있던 역사관, 국민의 정치의식 등을 고려할 때 썩 유용한 방법이 아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지나간 말이지만 다른 군인에게 그런 말을 하면 괜한 오해가 될 수 있겠다 싶어 특히 김 전 장관에게 유의 깊게 ‘대통령을 잘 모셔라’, ‘대통령을 잘 모시는 길이 그런 말씀을 혹시라도 안 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부하 된 도리’라고 말한 기억이 있다”고 덧붙였다.
신 실장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직전에도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과 자신을 비롯한 수석들이 윤 대통령을 말렸다고 전했다. 신 실장은 “급박한 상황이라 지금 상황에서 계엄은 대통령이 선택할 수 있는 좋은 정치적인 선택이 아니라는 생각을 본능적으로 했다”고 했다.
이후 국회가 계엄 해제 요구안을 가결한 당시 “TV를 보니 의원과 요원, 시민이 섞여 있는 것 같아서 빨리 해제해야 우발 사태가 안 날 것 같았다”며 “대통령에게 빨리 (계엄을) 해제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다만 신 실장은 윤 대통령의 ‘제2의 계엄 시도’, ‘계엄 해제 거부’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혀 우려하지 않았다. ‘해제하자’ 말하니 대통령이 바로 승인했다. 대통령이 제2 계엄을 생각한 게 아니라고 제 나름대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또 ‘거대 야당의 폭주에 대해 경종을 울리려 했다’는 윤 대통령 주장에 대해서는 “그 당시엔 상황을 잘 판단하지 못했는데 그 뒤로 진행해 온 계엄이 극히 짧은 것이나 대통령의 여러 말로 볼 때 충분히 그럴 가능성이 높다고 저는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