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주년 맞아 첫 ‘승전 기념식’ 열고, “전사자-유족 끝까지 책임” 밝혀
尹대통령 조화… 해상헌화식도 열려

군은 이날 제2연평해전을 ‘승전’으로 공식 선언하고 윤영하 소령, 한상국 조천형 상사, 황도현 서후원 중사, 박동혁 병장 등 전사자 6명과 유족을 끝까지 책임질 것이라고 밝혔다. 군은 그간 제2연평해전 기념식에 ‘승전’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았다. 2함대사령부 내 제2연평해전 전적비도 보수공사를 거쳐 ‘전승비’로 교체할 계획이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전사자 유족, 장병 등 참석자들은 20년 전 서해 NLL을 목숨 바쳐 수호한 영웅 6명을 기렸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 신인호 국가안보실 2차장도 자리를 함께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차 출국한 윤석열 대통령은 조화를 보냈다.
이 장관은 기념사에서 여섯 용사의 이름을 호명하며 “이들의 숭고한 희생은 우리 가슴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역사에 영원히 살아 숨쉴 것”이라며 “관련 법규를 개정해 추서·진급된 계급에 맞게 각종 급여와 예우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기념식에 이어 유족과 참전 장병들은 여섯 용사의 이름을 딴 유도탄고속함을 타고 풍도 인근 해상에 도착해 국화를 바다에 내려놓고 술을 뿌리는 해상헌화식도 가졌다.
제2연평해전은 한일 월드컵 기간이던 2002년 6월 29일 북한 경비정 2척이 서해 NLL을 침범해 우리 해군의 참수리 357호 고속정을 기습공격하면서 발발했다. 북한의 기습으로 고속정장인 윤 소령 등 5명이 숨졌고, 박동혁 병장은 중상을 입고 치료받다가 끝내 숨을 거뒀다. 당시 우리 해군이 즉각 반격하면서 북한군도 3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경비정은 화염에 휩싸인 채 북으로 도주했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