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관위가 편향성 시비에 휩싸인 것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달 한 시민단체가 ‘보궐선거 왜 하죠?’ 캠페인을 하려 하자 선관위는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유로 제지했다. 이번 보궐선거가 여당 소속인 박원순 전 서울시장, 오거돈 전 부산시장의 성추문 때문에 치르게 된 것은 새삼스러운 사실도 아니다.
반면 선관위는 서울 마포구청이 산하 주민센터에 민주당의 상징색과 기호를 연상케 하는 안내 배너를 설치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선거법 위반이 아니다’라고 했다. 교통방송(TBS)의 ‘일(1)합시다’ 캠페인도 민주당 기호 1번을 떠올린다는 우려가 제기됐지만 문제 삼지 않았다. 이러니 선관위가 여당에 관대한 반면 야당엔 엄정하다는 이중 잣대 논란에 휩싸인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지금 선관위는 인적 구성이 한쪽으로 치우쳤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노정희 선관위원장은 진보 성향의 우리법연구회 출신이고, 선관위 출신인 조해주 상임위원은 2017년 문재인 대선 캠프에 이름을 올렸던 인물이다. 중앙선관위원 9명 중 야당의 추천을 받았거나 중립 성향을 가진 위원은 2명에 불과하다. 이럴수록 선관위는 공정성에 대한 시비가 일지 않도록 더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재용 사면해야”… 반도체 위기에 곳곳서 목소리
[이기홍 칼럼]필패 자초하는 與, 천운 걷어차는 野
檢 “‘김학의 출금’ 이성윤 지검장 기소할 것…文대통령 檢총장 후보자 지명 이후”
[오늘과 내일/이성호]백신 위기를 불러온 세 가지 패착
김근식 “김어준과 유재석의 차이점…친문MC·국민MC”
“밥까지 정부 간섭” MZ세대 반발만 불러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