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에 대한 수사권과 판검사 등에 대한 기소권까지 가진 공수처의 정치적 중립은 말이 아닌 행동으로 입증돼야 한다. 공수처 차장과 검사 인선은 정치적 중립 실현 의지를 보여줄 시금석이다. 차장은 처장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고, 검사는 처장과 차장, 처장이 위촉한 1명, 여야가 추천한 각각 2명 등 7명으로 구성된 인사위원회의 추천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한다.
특히 차장은 수사실무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김 처장을 보좌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맡게 된다. 야권에서는 여권이 차장을 통해 공수처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김 처장은 다음 주 복수의 차장 후보를 제청하겠다고 밝혔다. 중립성과 전문성이 검증된 인사에 대해 실질적인 제청권을 행사하고 문 대통령이 수용해야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다.
인선 이후에는 공수처 본연의 역할에 맞는 사건을 수사하는 것이 관건이다. 공수처의 규모로 볼 때 법에 정해진 대상을 모두 수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검경과의 역할 분담이 필수다. 공수처는 어떻게 운영되느냐에 따라 공직사회의 비리를 척결하고 기강을 바로 세우는 순기능을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선 “중립성 공정성 독립성은 공수처의 생명줄”이라는 김 처장의 인사청문회 발언이 지켜져야 한다. 중립성이 훼손된다면 공수처는 자리를 잡기도 전에 존폐의 기로에 서게 될 것이다.
이수정 “십수 년 민주당 지원, ‘그대로 가야하나’ 혼란 빠져”
윤석열, 총장직 거는 건 與가 바라는일…檢, 중수청 앞 자멸할수도
진중권 “신현수도 친문이 잘라내는 것…文도 통제 못해”
홍준표 “아직도 문재인 세상…정신 못차리는 국민의힘”
“임기말 대통령 눈엔 뒤꽁무니만…관료들은 ‘몸 세탁’ 외국행”[최영해의 폴리코노미]
文 정부에서 사라진 김대중과 노무현의 유산[광화문에서/한상준]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