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SNS에서는]‘소매치기 미디어’를 넘어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8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다음카카오가 선보인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인 ‘카카오톡 채널’ 화면. 다음 카페에 올라온 게시물 중 재미있는 것을 골라 보여주다 보니 같은 종류의 서비스인 ‘피키캐스트’가 만든 게시물이 올라오는 웃지 못할 상황도 벌어진다. 카카오톡 채널 화면 캡처
다음카카오가 선보인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인 ‘카카오톡 채널’ 화면. 다음 카페에 올라온 게시물 중 재미있는 것을 골라 보여주다 보니 같은 종류의 서비스인 ‘피키캐스트’가 만든 게시물이 올라오는 웃지 못할 상황도 벌어진다. 카카오톡 채널 화면 캡처
“시장에서 잘나간다는 이유로 남의 피와 땀을 훔쳐가는 미디어는 ‘소매치기 미디어’에 불과합니다.”

저는 두어 달 전 문화연대 등이 주최한 ‘디지털 생태계 진단포럼’에 참석했습니다. 이 행사에서는 교수와 언론 관계자를 비롯한 여러 연구자가 참석해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와 저작권 문제 등을 두고 활발한 토론을 이어갔습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가 뭐기에 이렇게 격렬한 토론이 일어났던 걸까요.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란 재미있거나 의미 있는 게시물만을 골라서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인터넷 서비스를 말합니다. 국내에서는 ‘피키캐스트’와 ‘카카오톡 채널’이 대표적입니다. 피키캐스트는 론칭 1년 3개월인 지난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누적 다운로드 1000만 건을 달성해 화제가 됐고, 카카오톡 채널은 다음카카오가 국내 모바일 메신저 분야에서 부동의 1위인 카카오톡과 연계해 6월 말 선보인 서비스입니다.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골라준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저작권을 둘러싼 논쟁 또한 뜨겁습니다. 사람들의 반응과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집중하다 보니 저작권을 무시한 ‘펌질(게시물을 복사해 가는 것을 비하해서 이르는 말)’을 일삼는다는 겁니다.

지금까지 이런 비판의 화살은 대부분 피키캐스트를 향해 있었습니다. 앞서 언급했던 세미나의 부제가 ‘피키캐스트와 뉴스 큐레이션’이었던 것처럼 말입니다.

하지만 사실 모든 큐레이션 서비스가 비슷한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카카오톡 채널도 마찬가집니다. 카카오톡 채널은 다음 카페의 가입자들이 올린 글 중 재미있는 것을 골라 보여줍니다. 그런데 이런 글 중 대부분이 방송 화면이나 인터넷 기사 등을 짜깁기한 것들입니다. 이렇다 보니 같은 큐레이션 서비스인 피키캐스트의 게시물이 그대로 복제돼 올라오는 웃지 못할 상황도 벌어집니다.

일반 이용자가 카페에 글을 쓴 것 자체는 큰 문제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비영리적인 목적인 때가 많고, 원저작물의 시장가치를 크게 떨어뜨리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카카오톡 채널에 이 게시물이 그대로 노출되는 것은 다른 문제입니다. 영리 활동이냐 비영리 활동이냐, 게시물에 대한 법적 책임이 게시물 등록자에게 있느냐 다음카카오에 있느냐 같은 문제들이 생기지 않을까요?

이렇다 보니 업계에서는 과격한 주장이 나오기도 합니다. 2월에는 한 인터넷 미디어 대표가 “저작권 개념은 앞으로 자연스럽게 소멸될 것”이라고 말해 미디어 업계 종사자들의 입방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적절한 지적”이라는 의견과 “‘펌질’ 매체의 비겁한 변명”이라는 비판이 엇갈렸습니다.

저작권 개념이 없어질 것이라는 주장에는 선뜻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저작권에 대한 통념을 뒤흔들고 있다는 점은 눈여겨볼 만합니다. 바야흐로 기존의 저작권 개념으로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권리를 규정짓기 어려운 시대가 다가온 건 아닐까요? 큐레이션 서비스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저작권 논쟁은 어쩌면 콘텐츠 유통의 새로운 시대를 앞둔 산고(産苦)일지도 모릅니다.

이런 상황은 어떠신가요. 내 글, 내 영상이 큐레이션 서비스와 SNS를 통해 전 세계를 떠돕니다. 이때 발달된 정보통신기술(ICT)이 내 콘텐츠를 직·간접적으로 인용한 모든 생산물을 추적하고, 나의 원본 콘텐츠에 자동으로 연결해줍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원저작자인 나에게 유·무형의 이익을 되돌려주는 생태계가 만들어진다면 어떨까요. 원본 제작자의 마음(혹은 통장 사정)이 한결 나아지지 않을까요?

뜬구름 잡는 소리 같지만 사실 트위터나 페이스북, 유튜브 같은 외국 서비스는 이런 ‘건강한 펌질’이 어느 정도 가능합니다. 피키캐스트나 카카오톡 채널이 보다 진화한 저작권 개념을 만들어 주길, 그래서 역설적으로 창작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건강한 콘텐츠 유통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기를 기대합니다.

권기범 디지털퍼스트팀 기자 kaki@donga.com
#소매치기 미디어#디지털 생태계 진단포럼#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