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SJ는 중국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달 29일 중앙정치국이 부동산 규제 완화와 빅테크 기업 발전 촉진 등을 시사한 것은 정치국 위원들이 리 총리 주장에 손을 들어주며 시 주석을 압박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중국 경제 악화로 리 총리가 주목받고 있으며 실제로 리 총리는 일부 제재 조치가 완화되도록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시 주석의 ‘제로코로나 정책’과 정보기술(IT) 기업에 대한 강력한 제재가 가뜩이나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더 힘겨워진 중국 경제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리 총리의 입지가 다소 커지더라도 시 주석의 장기집권(3연임)에는 지장이 없을 것이란 전망이 대세다. 다만 최고지도부 구성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시 주석 등 7인인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 선임에 리 총리 입김이 작용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