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의 없는 호칭으로 소통 앞장

이런 회의는 첨단 정보기술(IT) 기업에서는 볼 수 있는 광경이지만 보수적 분위기의 롯데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수직적이고 체계적인 조직 문화는 롯데 유통 계열사들을 빠르게 성장시켰지만 지금은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 효율적으로 일하는 방식이 각광받는 시대다.
1986년 미국 P&G에 입사해 유통에 발을 들여놓은 김 부회장은 이후 여러 글로벌 기업을 거치면서 소통의 중요성을 자연스럽게 터득했다고 롯데 측은 설명했다. 그는 총괄대표 취임 전 직원 게시판에 글을 올렸고, 취임 직후에는 영상 메시지를 통해 “나는 샘 킴이나 김상현 님으로 불리는 것을 좋아한다”고 밝혔다. “언제든지 경청할 준비가 돼 있다”며 임직원들과의 만남을 제안한 것이 티미팅으로 이어졌다.
롯데 유통군의 또 다른 변화는 3월부터 직급 대신 ‘이름+님’을 활용한 호칭을 도입한 것이다. 호칭 도입을 위해 유통군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직원들의 선호도가 높은 호칭으로 선정했다.
변화의 바람에는 롯데 신동빈 회장의 의지도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 회장은 올 상반기(1~6월) 사장단 회의에서 혁신을 위한 조직 문화 개선을 강조했다.
롯데 관계자는 “김 부회장은 유통군HQ를 중심으로 자유로운 조직 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유통 계열사들도 이런 변화에 동참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미경 기자 micke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