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부동산정보업체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6일 13억 원에 전세 거래된 서울 성동구 성수동 ‘트리마제’ 전용면적 49.7㎡의 3.3㎡당 가격이 8652만5000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3㎡당 전셋값으로 역대 최고가로, 같은 면적의 트리마제의 3.3㎡ 당 매매가는 1억1581만 원(7월 17억4000만 원)이었다.
이전에 3.3㎡당 전셋값이 가장 비싼 단지는 서울 성동구 행당동 ‘서울숲 리버뷰 자이’로 8250만7000원(전용 36.1㎡·8월 9억 원)이었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 역시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1년 6월 이후 9년 5개월 동안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KB부동산이 발표한 월간 KB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11월 서울의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5억6069만 원으로, 전월(5억3677만 원)보다 2390만 원이나 상승했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달 자가주거비(전월세 가격) 역시 1년 전보다 0.6% 올랐다. 2018년 6월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전세는 0.8%, 월세는 0.4% 올랐다.
정부도 전세대책의 후속 조치를 내놓았다. 이날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제11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12월까지 총 3만9000채(서울 5000채) 공실 공공임대 입주자를 모집하겠다”고 밝혔다. 국토부도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주택사업자가 신축 주택을 매입해 자산, 소득요건을 따지지 않고 무주택자에게 공급하는 공공전세주택을 2022년까지 한시적으로 총 1만8000채 마련한다고 밝혔다. 우선 내년 상반기(1~6월) 3000채(서울 1000채)의 공공전세주택을 공급한다. 하지만 이는 일반 아파트 전셋집을 구하려는 시장 수요와 동떨어져 시장 불안세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조윤경 기자 yunique@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
세종=주애진 기자 jaj@donga.com
안철수 “조국, 딸 의료행위 직접 막아라…文에 부담”
“입양아가 쇼핑 물건이냐”…文 ‘교환발언’에 비판 봇물
서민, ‘文기자회견 많다’는 탁현민에 “쇼 횟수랑 헷갈린 듯”
“법무부 이건 아니잖아요” 박준영, 추미애·정한중 직격 비판
하태경 “문준용, 내가 아니라 검찰에 이긴 것…대국민사과 해야”
“입양은 물건 고르는 것 아냐” 두 아들 입양한 최재형 재조명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