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맥’ 결혼, 기업 가치에 긍정적 영향 미친다?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월 5일 14시 55분


코멘트
가족기업은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기업 소유구조 형태다. 국내의 경우 상장기업의 절반 이상이 가족기업이다. 미국의 S&P500 기업도 35% 이상이 가족기업으로 분류된다. 이들 가족기업은 기업인이나 정관계 인사들과 혼맥을 통해 사업을 공고히 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렇다면 과연 결혼이 실제 기업 경영에 영향을 미칠까.

유럽경영대학원(ESCP) 분칸와니차 교수 등 연구팀은 창업자 가족 구성원의 배우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그 결혼이 가족기업의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다. 연구자들은 ‘결혼이 한 가문의 아들과 다른 가문의 딸을 연결한다’라는 네트워크 가설을 내세웠다. 즉, 가족기업의 구성원이 유력 기업인 혹은 유력 정치인의 자녀와 혼인할 경우 그 동맹관계가 기업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가정했다.

연구자들은 자료 수집을 위해 태국의 ‘타이래스 뉴스페이퍼(newspaper Thairath)’를 주목했다. 태국에서 100만 부 이상 발행되는 이 매체는 매일 지면 중 4개면을 할애해 상류사회의 결혼소식을 전한다. 연구는 1991년부터 2006년까지 있었던 91개 가족기업 구성원의 140쌍의 결혼을 바탕으로 진행됐다. 창업자 가족 구성원의 배우자가 왕족/귀족, 정치인/고위공무원/군인 및 기업창업자 가문의 출신일 경우 그 결혼은 네트워크 혼인으로 분류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비네트워크 혼인으로 간주했다. 흥미롭게도 140쌍의 결혼 중 110건(79%)이 네트워크 혼인에 속했다. 비네트워크 혼인의 배우자는 영화배우, 가수, 아나운서, 미인대회 우승자, 대학교수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네트워크 혼인의 경우 주식시장에서 결혼일 전후 11일 동안의 누적 초과수익률이 2.04%인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시장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네트워크 혼인은 -0.13%의 누적 초과수익률을 보였다. 이는 네트워크 혼인이 창업자 가족의 네트워크를 강화시킨다는 가설과 일치한다. 특히 기업 활동에서 정보와 인맥이 중요한 부동산업이나 건설업과 정부에서 사업자를 선정하는 통신업, 주류업 등의 경우 52쌍의 결혼 중 49쌍이 네트워크 혼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 양가의 기업이 혼인을 통해 수평적 혹은 수직적 동맹관계가 설립될 수 있는 경우 투자자들은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자동차 기업의 가족 구성원과 타이어 기업의 가족 구성원이 결혼하면 투자자들은 보다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김진욱 건국대 경영학과 교수 jinkim@konkuk.ac.kr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