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티파이 코리아 박정주 총괄
‘나보다 나를 더 잘 아는’ 맞춤 추천
무료 요금제 출시 후 이용자 급증
해외 아티스트-국내팬 연결 역할도
박정주 스포티파이코리아 뮤직팀 총괄은 “스포티파이는 이용자들과의 장기적 신뢰를 쌓아 가는 것을 중요시한다”고 했다. 스포티파이코리아 제공
“스포티파이의 음악 추천에는 사람의 감각, ‘휴먼 터치(Human Touch)’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박정주 스포티파이 코리아 뮤직팀 총괄(44)은 14일 서울 강남구 위워크에서 만나 자사의 음악 추천 시스템을 이렇게 설명했다.
세계 최대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인 스포티파이는 180개국에서 6억7800만 명이 사용 중이다. 2021년 2월 한국에 진출했으며, 현재 약 1억 곡의 음악과 600만 개가 넘는 팟캐스트를 제공하고 있다. 박 총괄은 2003년 삼성전자에서 개발자로 커리어를 시작해 SM엔터테인먼트, 워너뮤직, 소니뮤직 등을 거쳐 스포티파이 코리아 론칭 직전인 2020년 합류했다. 2023년부터 뮤직팀을 총괄하며 아티스트 및 레이블 협업 등 음악 사업 전반을 이끌고 있다. 미국 빌보드가 선정하는 세계 음악 산업을 이끄는 리더 ‘2025 빌보드 글로벌 파워 플레이어스’로도 뽑혔다.
● 에디터가 숨은 국내 뮤지션 발굴
박 총괄이 내세운 스포티파이의 강점은 ‘음악의 개인화’다. “나보다 나를 더 잘 아는”이란 문구처럼, AI 머신러닝과 편집자의 판단이 결합돼 사용자 맞춤형 추천이 이뤄진다.
“전 세계에 에디토리얼 팀이 있는데, 한국에도 2명이 있습니다. 매일 신곡을 듣고, 아티스트의 활동을 봅니다. 결국 기술과 사람의 역할이 결합돼 하나의 플레이리스트에 담기게 되는 겁니다.”
기계가 알아채지 못하는 가능성을 에디터들이 발견하기도 한다. 2021년 스포티파이의 글로벌 라이징 아티스트 지원 프로그램인 ‘레이더 아티스트’로 선정된 힙합 뮤지션 ‘애쉬 아일랜드’가 대표적인 사례다. 에디터가 해외에서 주로 스트리밍되는 K팝 아이돌이 아닌 힙합 뮤지션에 주목했다. 박 총괄은 “당시 데이터가 거의 없었지만 저희가 먼저 발굴한 케이스”라며 “이후 미 음악 잡지 롤링스톤에도 소개됐다”고 했다.
정기적으로 각국의 에디토리얼 팀이 모여 음악 트렌드를 공유하는 ‘글로벌 큐레이션 그룹(Global Curation Group)’은 로컬 음악을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거나, 새로운 음악을 들여오는 창구 역할을 한다. 박 총괄은 “최근 J팝 인기로 일본 팀과 협업이 늘었다”며 “요네즈 겐시 내한 당시 세트리스트를 기반으로 한 ‘온 투어 플레이리스트(On Tour Playlist)’를 기획했더니 반응이 뜨거웠다”고 말했다.
● 빌리 아일리시 내한 성사시켜
스포티파이의 글로벌 네트워크는 해외 아티스트와 국내 팬을 연결하는 데도 활용된다. 지난해 6월 빌리 아일리시가 한국 청음회에 참석한 것도 이 덕분이었다. 영국 런던에서도 유사한 행사가 열렸지만, 직접 참여하진 않았다. 박 총괄은 “당시 아일리시가 일본 등에서 스케줄이 있단 사실을 알게 돼 국내 팀에서 급박하게 움직여 성사됐다”고 설명했다. 여성 아티스트를 조명하는 ‘이퀄(EQUAL)’, 신인을 발굴하는 ‘루키(Rookie)’ 등 국내 레이블과의 협업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진행 중이다.
시장조사업체 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달 스포티파이의 국내 월간 활성 이용자 수는 329만 명이다. 유튜브 뮤직(979만 명)과 멜론(601만 명)에 이어 3위. 지난해 무료 요금제를 출시한 뒤로 이용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박 총괄은 “한국은 음악 시장 경쟁이 치열하고, 청취자들의 수준도 높아서 단기적으로 성과를 내는 전략은 어려웠다”며 “현재 고무적인 숫자(이용자 수)가 나오기 때문에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봐주시면 좋겠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