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에 꼬리를 무는 독서]석유시대 언제까지…

  • 입력 2005년 4월 22일 17시 02분


코멘트
기름진 밭이 아니라 문자 그대로 기름밭, 유전(油田) 개발을 추진했던 철도공사에 대한 의혹이 무성하다. 로비 자금이다 아니다, 부당하게 영향력을 행사했다 아니다. 결국 특검이 구성되어야 유전을 찾아내듯 이 의혹을 말끔히 풀 수 있을까.

주유소에서 기름 넣는 데 익숙하다 보니 석유가 지각에 파묻힌 동식물의 유해가 오랜 세월에 걸쳐 화석화해 만들어진 화석연료라는 걸 깜박 잊기 쉽다. 장순근의 ‘망치를 든 지질학자’(가람기획)에서 화석과 지질학에 관한 흥미로운 기초지식을 얻을 수 있다. 전공이 석유 탐사인 과학자가 농민을 위해 수맥 탐사에 나서 큰 성공을 거둔 일화가 인상적이다. 석유지질 전문가 손진담 박사에 관한 이야기다.

전 지구적 석유 수급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의견이다. 이필렬의 ‘석유시대, 언제까지 갈 것인가’(녹색평론사)에 따르면 2008년을 기점으로 석유생산량은 줄어든다. 석유의 종말이 필연이라면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생산 소비하는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대규모 에너지 생산과 소비 구조를 분산적, 민주적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귀담아들을 만하다. 한국의 에너지 현실에 바탕을 둔 분석과 전망이 뼈대를 이룬다는 게 이 책의 장점이다.

석유에 관한 거의 모든 것을 담았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은 책으로는 귄터 바루디오의 ‘악마의 눈물, 석유의 역사’(뿌리와 이파리)가 있다. 700쪽이 넘지만 각 장의 내용이 독립적이어서 석유 관련 정보 파일로 활용해도 좋다. 물론 단순한 정보의 나열에 그치지 않는다. 저자는 “우리에게 복지를 가져다주는 것은 석유 자체라기보다 석유를 사용하는 방식에 있다”며, 석유 고갈 위기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석유를 대량 소비해 오염과 파괴를 지속하는 것이라고 지적한다.

결국 문제는 석유에 있는 게 아니라 인간의 탐욕에 있는가. 김선우 시인의 ‘피어라, 석유!’에서 몇 구절을 떠올려 본다. ‘검고 끈적한 이 핏방울/이 몸으로 인해 더러운 전쟁이 그치지 않아요/탐욕이 탐욕을 불러요/탐욕하는 자의 눈앞에/무용한 꽃이 되게 해주세요.’

표정훈·출판평론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