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전단채 투자자들 “투자금 반환” 첫 단체 집회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3월 13일 03시 00분


“기업회생 신청은 고의적인 행보
카드사들 단 한푼 피해도 없이
전단채 피해자들에 손실 전가”

금감원 찾아온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 비대위
홈플러스 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가 1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금감원 찾아온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 비대위 홈플러스 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가 1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홈플러스의 단기채권에 자금을 넣은 개인투자자들이 첫 단체행동에 나섰다.

‘홈플러스 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는 12일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금융감독원 앞에서 홈플러스와 대주주 MBK파트너스에 투자금 반환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날 금감원 앞에 모인 투자자들은 약 20명으로 투자금은 1억∼22억 원으로 다양했다.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 개시 후 원리금 상환이 중단된 전단채는 총 4019억 원으로, 이 중 상당액은 개인투자자들이 쥐고 있다.

투자자들은 투자한 전단채가 홈플러스의 물품 결제와 관련된 상거래채권이라고 주장했다. 해당 전단채는 홈플러스와 거래하는 카드사들이 빠른 정산을 위해 카드대금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삼아 만든 금융상품인데, 전단채가 금융채권이 아닌 상거래채권으로 분류될 경우 변제 순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법원은 금융채권은 동결하는 대신, 홈플러스가 상거래채권은 먼저 변제하도록 했다.

비대위 관계자는 “홈플러스는 MBK파트너스 소유의 국내 대형 할인 매장인데, 이렇게 큰 대기업이 하루아침에 회생 신청을 한다는 게 이해가 가지 않는다”며 “이번 사태에도 카드사들은 단 한 푼의 피해도 입지 않고 손실을 전단채 피해자들에게 전가했다”고 지적했다.

홈플러스는 물품 구매대금 결제를 위해 신용카드(구매 전용 카드)를 사용해왔다. 이 가운데 증권사는 카드사에 발생한 카드대금 채권을 기반으로 전단채를 발행했고, 이를 개인 등 투자자들이 사들였다. 즉, 카드사의 향후 카드 대금 수령 권리 유동화를 통해 개인투자자들을 끌어들인 셈이다.

한편 신한카드와 삼성카드는 홈플러스 상품권에 대한 결제를 중단했다. 다른 카드사들 역시 결제 중단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홈플러스#단기채권#개인투자자#단체행동#단체 집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