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연금특위는 활동기한 연장에 대해 “공론화위원회와 이해관계자위원회를 만들어 조정해야 한다”는 이유를 대고 있다. 이르면 다음 달에는 공론화위부터 출범시킨다는 것이다. 올 4월 활동기한을 10월로 연장할 때는 “공적연금 구조개혁이 먼저”라는 명분과 함께 “500명이 참여하는 공론화위를 거쳐야 한다”는 이유를 내세웠다. 그런데 6개월간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에 있다가 이번에는 공론화위에 이해관계자위까지 만들어야 한다며 또 결론을 미루고 있다. 위원회를 통한 여론 수렴은 핑계일 뿐 인기 없는 개혁에서 손 떼고 싶은 것이다.
지난해 7월 국회 주도로 개혁안을 내놓겠다며 연금특위를 꾸릴 때만 해도 2007년 이후 미뤄온 연금개혁에 힘이 실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었다. 4월 국회 발표 일정에 맞추기 위해 정부의 국민연금 재정 추계도 3개월 앞당겨 올 1월 잠정치를 발표한 바 있다. 그런데 특위 산하 민간 자문위원회가 보험료율을 15%로 인상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에 여론이 악화하자 슬그머니 발을 빼기 시작했다. 정부도 지난달 ‘더 내고 늦게 받는 수밖에 없다’는 정부 산하 위원회 결론이 나오자 이달 정부안 국회 제출을 앞두고 ‘국민 수용성’ 운운하며 뒷걸음질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