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영수 못지않게 중요한 경제·금융 교육 [광화문에서/신수정]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5월 11일 21시 32분


코멘트
신수정 DBR 교육컨벤션팀장
신수정 DBR 교육컨벤션팀장
# 수수료와 세금이 없으면서 연 2%의 이자를 보장하는 1년 만기 정기예금에 100만 원을 입금한 후 찾지 않고 5년 동안 넣어 둔다면(이자는 매년 지급) 5년 후에 해당 계좌에는 얼마의 돈이 있는가?

①110만 원 초과 ②110만 원 ③110만 원 미만 ④주어진 정보로는 말할 수 없음

위의 문제는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이 2년마다 만 18∼79세 성인 2400명을 대상으로 실시 중인 ‘전 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문항 중 하나다. 복리 개념을 묻는 질문인데 정답은 ①이다. 복리는 투자자산에 대한 이자를 계산할 때 원금과 이전에 발생한 이자를 합산해 다음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복리 투자를 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자산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재테크를 위해서는 꼭 알아야 하는 개념이다.

지난해 금융이해력 조사에서 가장 정답률이 낮았던 문항이 복리 계산 문제였다. 10명 중 4명만 답을 맞혔다. 조사 대상 전체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6.5점(100점 만점)으로 2년 전 조사 65.1점보다 소폭 상승하긴 했지만 여전히 낮은 점수였다.

한국인들의 경제·금융 이해력이 낮은 편이라는 것은 여러 조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제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2018년 발표한 ‘세계 금융이해력 조사’에서 한국은 142개국 가운데 77위로 금융문맹률이 6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021년 실시한 ‘전 국민 경제이해력’ 평균 점수는 56.3점이었다.

경제·금융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개인은 재무계획에 취약하고 전문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 투자보다는 지인 추천 등에 의존해 잘못된 투자를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개인 투자자들의 실패는 과잉부채, 신용불량, 빈곤율 증가 같은 심각한 사회 문제로 이어진다.

이런 이유로 주요 국가들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사회안전망 구축 차원에서 경제·금융 교육을 확대했다. 미국, 캐나다, 영국 등은 학교에서 관련 교육을 의무화하고 있다. 미국은 경제교육협의회(CEE)에서 ‘금융문해력 국가표준’을 만들어 소득, 소비, 저축, 신용 등 세부 영역별로 유치원부터 고교생까지 학년별로 도달해야 할 성취 기준을 제시하고 관련 내용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도 금융위기 이후 경제·금융 교육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수업 시수나 내용 등에서 아쉬운 점이 많다. 학교 교육이 대학입시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경제·금융 교육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다.

현재 국회에는 금융교육을 정규 교육과정에 의무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금융교육진흥법 제정안이 발의된 상태다. 학교에서부터 금융교육이 이뤄질 수 있게 해 향후 성인이 된 후 경제활동 과정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법안의 목적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일정 수준의 경제·금융 지식은 삶의 질을 좌우할 수 있다. 특히 청소년기에 습득된 지식은 성인이 돼서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교에서의 관련 교육은 더욱 중요하다. 미래 세대가 잘못된 투자로 고통받지 않도록 학교에서의 경제·금융 교육이 제대로 이뤄졌으면 한다.


신수정 DBR 교육컨벤션팀장 crystal@donga.com
#경제 교육#금융 교육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