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3.5% 전망…종전보다 1.1%p↓

  • 뉴스1
  • 입력 2022년 5월 17일 14시 04분


코멘트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제공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제공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11월보다 1.1%포인트(p) 내린 3.5%로 내놨다.

KIEP는 17일 ‘2022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기자간담회에서 이처럼 제시했다.

김흥종 KIEP 원장은 통화정책 정상화와 지정학적 충돌, 방역정책을 하향조정 배경으로 꼽으며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와 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학적 충돌로 인한 높은 천연자원·곡물 가격 등 파급효과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3.6%)보다 낮고 세계은행(WB) 전망치(3.2%)보다 높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비슷한 수준이다.

OECD는 작년 말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4.5%로 전망했다가 올 3월엔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가 계속되면 1%p가량 하락할 수 있다고 봤다.

KIEP는 “우크라이나 전쟁은 코로나19 이후 세계경제 회복세를 둔화시킬 것”이라며 “높은 인플레이션, 글로벌 공급망 교란, 전쟁 장기화,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 코로나19 재확산 등이 복합적으로 성장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세계경제를 이끄는 미국 성장률은 3.3%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종전 전망치보다 0.5%p 내린 것이다.

미국은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교란, 수급불균형으로 인한 높은 인플레이션,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 등으로 성장세가 다소 둔화되고 있다.

유로지역은 2.8%, 영국은 3.7% 성장할 것으로 봤다.

에너지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 압력과 공급망 교란 등으로 종전 전망치 대비 각 1.8%p, 1.6%p 하향조정된 것이다. 특히 이 지역은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가 다른 지역보다 높아 전쟁 향방에 의한 정치경제적 영향이 클 것으로 예측됐다.

일본은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지난 3월21일 방역조치를 완화하고 확장적 재정정책을 추진해 민간소비, 설비투자, 정부지출 등이 회복세를 보이며 2.0%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은 확장재정 기조가 유지되고 있으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봉쇄조치 시행 등으로 성장세가 다소 둔화돼 5.1% 성장을 점쳤다.

역시 전쟁으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 등 대외여건이 악화된 인도는 7.4% 성장을 예상했다.

러시아는 대러 제재로 인한 환율상승 등 금융시장 충격, 높은 인플레, 러 중앙은행의 고금리 정책 등으로 성장세가 대폭 둔화되며 -9.5%의 역성장이 전망됐다. 종전보다 12.4%p 하향조정된 것이다.

10월 대통령 선거를 전후로 정치불안정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브라질은 0.5% 성장을 기록할 전망이다.

내년 세계경제는 높은 인플레와 글로벌 공급망 교란,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 전쟁 장기화, 코로나19 재확산 등이 주요 하방요인으로 꼽히며 3.6% 성장이 예상됐다.

김 원장은 스리랑카, 파키스탄 등 개발도상국 디폴트 가능성이 이번 전망에 미친 영향에 대해선 “상당히 제한적”이라면서 “다만 유럽이 러시아 디폴트 문제에 얼마나 큰 타격을 받을지는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와 관련해선 “한국과 다른 나라들이 기계적으로 따라가면 문제가 있을 수 있다”며 “각 나라별로 상황을 잘 파악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달러·원 환율상승에 관해선 “원화약세를 어느 정도 허용하더라도 한국경제에 특별한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봤다. 정영식 KIEP 박사도 “지금의 원화약세는 과거와는 다른 양상으로, 원화 환율이 아주 큰 폭으로 오를 가능성은 달러가 대폭 강세로 가지 않는 이상 낮다고 본다”고 말했다.

(세종=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