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카이치 회장은 24일 의회에서 “한국 외교부가 사도 광산에 대해 강제노역 피해 현장이라며 철회를 촉구했다. 사도 광산과 관련해 외교적 배려를 하느냐”고 정부에 질의했다.
이에 하야시 외상은 “사도 광산 추천을 보류키로 결정한 바 없다. 한국에 외교적 배려를 하는 것도 전혀 없다”고 답했다. 이어 “사도 광산에 관한 한국 측의 (조선인 강제노동 관련) 주장은 전혀 받아들일 수 없다. 한국 측에 강하게 의사 표시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내에서 사실에 반하는 보도가 다수 이뤄지고 있는 것은 매우 유감”이라며 우리의 입장을 계속 국제사회에 설명하겠다고 덧붙였다.
일본 정부는 다음 달 1일까지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 후보로 추천할지를 최종 결정한다. 최근 아사히신문 등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심사에서 탈락할 가능성 등을 고려해 추천을 보류하는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고 잇따라 보도했다. 그러나 이날 다카이치 회장은 “국가의 명예와 관련된 사태”라며 반드시 올해 추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도 광산은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에 있는 광산으로 에도시대에는 금광으로 유명했다.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일본은 이곳을 구리, 철, 아연 등 전쟁물자를 확보하기 위한 광산으로 이용하면서 최소 1141명의 조선인을 강제동원해 노역을 시켰다.
도쿄=박형준 특파원 loves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