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공유
공유하기
동아일보|정치

靑 “보훈처 허튼소리 때문에 통합구상 헝클어져”

입력 2013-05-20 03:00업데이트 2013-05-20 11:50
읽기모드 글자크기 설정 레이어 열기 뉴스듣기 프린트
글자크기 설정 닫기
추모곡 추진이 ‘임을…’ 퇴출 논란 불씨
“주먹 흔들며 제창 안돼”로 기름 부어… 작년과 행사방식 같았지만 반발 초래
‘임을 위한 행진곡’(이하 행진곡) 논란은 국가보훈처가 지난달 5·18민주화운동 기념행사의 공식 추모곡을 만들기 위해 예산 4800만 원을 마련했다고 밝히면서 촉발됐다.

보훈처는 “3·1절 노래나 광복절 노래처럼 국가기념일인 5·18도 공식 노래가 필요하다”며 추모곡의 제작 의미를 설명했으나 이는 곧 ‘행진곡 퇴출 논란’으로 이어졌다.

진보진영에서는 새로운 기념곡 제정에 반대하며 기존 행진곡을 기념식에서 공식 제창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보훈처는 “행진곡이 공식 기념곡으로 지정되지 않았고 일부 노동·진보단체에서 애국가 대신 불려지고 있으며, 정부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주먹을 쥐고 흔들며 노래를 부르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의견 등이 제기돼 제창 형태를 수용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에 5·18 관련 단체 등에서는 “행진곡을 ‘불순한 노래’로 몰고 있다”고 반발하며 기념식에 불참키로 하고 민주당은 연일 보훈처와 박근혜 대통령을 비판하며 정치적으로 각을 세웠다. 일부 새누리당 의원들도 보훈처에 대한 비판에 가세했다.

행진곡은 5·18기념식이 정부 행사로 승격된 2003년 이후에도 참석자가 모두 같이 부르는 제창곡이었다. 하지만 행진곡의 제창은 2008년 이명박정부 첫해까지였다. 2009년과 2010년에는 식전행사 때 합창단이 부르면서 제창곡에서 빠졌다. 2011년과 지난해에는 본행사 때 불렸지만 참석자들이 모두 함께 부르는 제창이 아니라 합창단이 부르는 형식이었다. 올해도 같은 방식이었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애초부터 지난해와 동일하게 행사를 진행한다는 게 원칙이었는데 보훈처가 ‘허튼소리’를 하면서 대통령의 통합 구상이 헝클어졌다”고 말했다.

이재명 기자 egija@donga.com

이슈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댓글 0
닫기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