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먹 흔들며 제창 안돼”로 기름 부어… 작년과 행사방식 같았지만 반발 초래 ‘임을 위한 행진곡’(이하 행진곡) 논란은 국가보훈처가 지난달 5·18민주화운동 기념행사의 공식 추모곡을 만들기 위해 예산 4800만 원을 마련했다고 밝히면서 촉발됐다.
보훈처는 “3·1절 노래나 광복절 노래처럼 국가기념일인 5·18도 공식 노래가 필요하다”며 추모곡의 제작 의미를 설명했으나 이는 곧 ‘행진곡 퇴출 논란’으로 이어졌다.
진보진영에서는 새로운 기념곡 제정에 반대하며 기존 행진곡을 기념식에서 공식 제창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보훈처는 “행진곡이 공식 기념곡으로 지정되지 않았고 일부 노동·진보단체에서 애국가 대신 불려지고 있으며, 정부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주먹을 쥐고 흔들며 노래를 부르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의견 등이 제기돼 제창 형태를 수용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에 5·18 관련 단체 등에서는 “행진곡을 ‘불순한 노래’로 몰고 있다”고 반발하며 기념식에 불참키로 하고 민주당은 연일 보훈처와 박근혜 대통령을 비판하며 정치적으로 각을 세웠다. 일부 새누리당 의원들도 보훈처에 대한 비판에 가세했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애초부터 지난해와 동일하게 행사를 진행한다는 게 원칙이었는데 보훈처가 ‘허튼소리’를 하면서 대통령의 통합 구상이 헝클어졌다”고 말했다.
이재명 기자 egij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