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앰배서더 Really?]무인도에서 해시계 만들기

  • 입력 2005년 9월 9일 03시 08분


코멘트
조선시대에 사용했던 해시계 앙부일구. 동아일보 자료 사진
조선시대에 사용했던 해시계 앙부일구. 동아일보 자료 사진
오늘날은 천체 현상을 통해 시간이나 24절기를 아는 지혜가 별로 필요치 않은 시대이다. 그러나 혹 무인도 같은 오지에라도 떨어진다면 해시계를 이용해 적어도 하루의 시간을 정확히 알 수 있다.

가장 간단한 해시계는 둥근 원반 중앙에 가는 막대를 꽂고 일정한 간격으로 등분하여 눈금을 그리면 완성된다. 그러나 흔히 한 가지 사실을 오해하고 있다. 해시계를 만들 때 막대를 ‘수직으로’ 꽂고 그림자를 보면 시곗바늘처럼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하리라고 생각하는 것. 사실은 그렇지 않다.

태양은 해시계를 중심으로 한 바퀴 도는 것이 아니다. 동쪽에서 떠서 남쪽 하늘 높이 올랐다가 서쪽으로 진다. 지구에서 볼 때 태양 회전의 중심은 지구가 자전하는 축이다. 따라서 해시계의 막대는 수직으로 세워져서는 안 되고 지구의 자전축, 즉 하늘의 북극 방향으로 맞춰져야 한다. 이는 밤에 보면 북극성의 방향이고 낮에는 현재 지점의 위도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지면에서 올렸을 때 북쪽 방향이다. 이와 같은 간편한 즉석 해시계를 만들면 지구촌 어느 곳에서든 시간을 알 수 있게 된다(남반구에서는 막대를 남쪽으로 향하게 한다).

우리 조상이 사용하던 4각형 모양의 해시계에는 24절기를 알 수 있는 눈금이 표시돼 있다. 1년 동안 계절에 따라 태양의 고도가 바뀌면서 해시계의 그림자 길이는 변한다. 그림자는 동지 때 가장 길어지고 하지 때는 가장 짧게 보이며 춘분과 추분 때는 중간에 나타난다. 해시계에는 그림자 길이별로 24절기가 표시된 눈금이 있다.

100여 년 전만 해도 우리 조상은 밤하늘의 달을 보면서 추석 같은 명절이나 제삿날에 해당하는 음력 날짜를 쉽게 알아냈다. 그러나 계절별로 씨 뿌리고, 경작하고, 추수하는 한 해의 농사 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변한다. 달력이 없던 농부에게는 해시계를 보면서 절기를 알 수 있는 지혜가 있었다. 간편한 휴대용 해시계도 사용하였는데 부채에 매달거나 소매에 넣어 다닐 수 있도록 성냥갑처럼 작은 것이었다.

이용삼 충북대 교수·천문학 leeysam@hanmail.net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