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제약업종, PPA 판매중지설로 상승폭 둔화

  • 입력 2000년 11월 9일 14시 51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부시 후보의 당선될 경우 제약업종 수혜설로 국내 제약업종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식품의약품안전청이 감기약과 다이어트 약품에 사용되는 페닐프로판올아민(PPA) 물질의 제조·수입·판매 중지 요청 소식으로 관련 업체 주가가 제동이 걸리면서 상승폭이 둔화되고 있다.

9일 증시에서 제약업종지수는 오후 1시30분 현재 전날보다 4.03포인트 오른 860.30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오전중에는 866대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종목별로는 유한양행, 유유산업, 일동제약, 삼일제약, 한독약품, 제일약품, 국제약품, 대일화학, 일성신약, 영진약품, 보령제약, 삼진제약, 상아제약, 동신제약, 태평양제약, 신풍제약 등이 대부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상승세를 유지하다가 PPA 물질 사용 중지 요청 뉴스가 시장에 알려진 이후 유한양행(제품명 콘택 600)과 현대약품(시노카) 등은 상승세가 둔화되고, 중외제약(화콜에프)과 대웅제약은 약세로 돌아섰다.

증권사의 제약 담당 분석가들은 미국 대선에서 부시 당선시 부시의 정책노선에 따라 제약업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나 이런 수혜가 국내 제약업종까지 영향을 미칠 지에 대해서는 다소 의구심을 표명하고 있다.

그러나 주가가 조정을 받는 과정에서 저가 매입세들이 종목별로 순환매를 이루는 과정에서 투자심리를 호전시킴으로써 제약업종에 매수세가 유입되는 효과는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서울증권의 송지현 제약 애널리스트는 “미국 민주당 앨 고어의 친(親) 첨단기술·환경 정책에다 제약업종 가격담합 제거의사 등을 표명하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공화당 부시가 당선될 경우 제약업종이 수혜를 볼 것이라는 분석이 미국 증시에서 제기되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재검표에 들어가지만 부시 당선이 다소 유력한 상황이고 개별종목에 저가 매입세가 유입되는 현재의 국내 증시상황에서 이런 분위기가 투자심리면에서 제약업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여진다”고 말했다.

그러나 부시가 당선될 경우 미국 제약업체가 수혜를 볼 수 있다고 하더라도 국내 제약업종에도 매출증가나 기술수출료 증가 등 실제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냐에 대해서는 의문이 많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송지현 애널리스트는 “미국과 시장규모가 동일한 상황이 아니고 미국에 원료를 공급하는 국내 제약업체도 적다”면서 “일부 기술수출 증가가 가능한 유한양행의 경우도 2004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단기간에 실적상승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적다는 얘기다.

아울러 미국 FDA의 PPA에 대해 제조판매 중지 요청에 이어 국내에서도 이를 수용해 어제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PPA 제조·수입·판매 중지 요청과 함께 의사협회와 병원협회, 약사회에도 사용·투약시 신중할 것을 당부하고 나서 주목되고 있다.

현재 이 PPA 물질은 감기약과 다이어트약품에 사용되는데, 종합감기약은 국내 시장규모가 300억을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신영증권의 황상연 제약 애널리스트는 “몇 년전부터 PPA 이슈가 있어 국내 제약사들도 콧물감기약 등에 사용하는 이 물질의 비중을 줄여왔다”면서 “그러나 의약분업 사태 이후 약품에 민감해진 소비자들에게 관련 사용제품을 기피하고 업체에 대해서도 브랜드 이미지가 나빠질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PPA 물질을 사용하지 않게 될 경우 새로운 감기약 제품을 개발, 상품화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고 또 이에 대해 광고·마케팅을 통해 인지도 획득이나 매출신장 및 시장점유율을 확보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들어 관련업체들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신영증권의 황상연 애널리스트는 “감기약 등이 일반의약품화돼 회사 매출 비중은 크지 않지만 후속제품을 내놓는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걸리고 비용도 만만찮아 PPA 관련 감기약 제조업체들이 당분간 고전할 것”이라면서 “비PPA계통을 사용하는 감기약이나 드링크류를 제조하는 업체가 수혜를 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제약 전문가들은 정부의 의약분업정책이 의사협회와 약사회 등의 반대로 다소 혼선을 겪고 있지만 연말까지 대체조제가 금지되는 방향으로 약사법 개정이 이뤄질 전망이 높아 내년 이후부터는 중소형 제약사들의 매출유지가 힘들어지는 등 제약업황이 나빠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

또 이들은 의약분업이 내년 상반기 정착될 경우 제약업종의 구조조정이나 차별화도 좀더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기석 <동아닷컴 기자> dongl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