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정경희 국민의힘 의원이 서울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번 서울대 정시모집에서 문·이과가 모두 지원할 수 있는 지역균형 및 인문·사회·예체능 모집단위에 최초 합격한 640명 중 330명(51.6%)이 미적분·기하 응시자로 집계됐다.
현행 수능은 형식상 ‘문·이과 통합’이지만, 서울대·고려대·연세대 등 대학의 이공계열이나 의약학계열을 지원하려면 수학 영역의 미적분 혹은 기하를 무조건 응시해야 한다. 이 때문에 미적분·기하 응시자는 이과, ‘확률과통계’ 응시자는 문과로 분류된다.
이번 서울대 정시모집에선 이 같은 ‘문과 침공’이 현실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과학계열은 최초 합격자 269명 중 163명(60.6%)이 미적분·기하 응시자로 이과생 비중이 상당히 높았다. 경제학부는 최초 합격자 70명 중 50명(71.4%)이 이과였으며, 심리학과는 최초 합격자 10명 중 8명(80.0%)이 이과였다.
인문계열도 최초 합격자 117명 중 미적분·기하 응시자가 50명(42.7%)으로, 최초 합격자 10명 중 4명 이상이 이과생으로 나타났다. 영어교육과(80.0%), 지리교육과(62.5%), 국어교육과(60.0%) 등 사범대 최초 합격자 중에서도 이과생이 많았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