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공유
읽기모드공유하기
동아닷컴|사회

“눈치 게임하는 듯” 실내 마스크 해제 첫날 분위기는…

입력 2023-01-30 10:25업데이트 2023-01-30 10:48
글자크기 설정 레이어 열기 뉴스듣기 프린트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 조치 해제를 하루 앞둔 29일 대전도시철도 1호선 정부청사역에 안내문이 붙어 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치가 권고로 전환되지만, 대중교통, 병원 등 의료기관, 약국, 감염취약시설 등을 이용할 경우에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유지된다. 2023.1.29/뉴스1실내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 조치 해제를 하루 앞둔 29일 대전도시철도 1호선 정부청사역에 안내문이 붙어 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치가 권고로 전환되지만, 대중교통, 병원 등 의료기관, 약국, 감염취약시설 등을 이용할 경우에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유지된다. 2023.1.29/뉴스1
대중교통과 의료기관 등 일부 시설을 제외하고는 마스크 착용 의무가 30일 0시부터 사라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으로 2020년 10월 마스크 착용 지침이 도입된 지 약 2년 3개월 만이다. 이에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 등에는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해방감을 만끽하듯 ‘노마스크’를 인증하는 글들이 속속 올라오기 시작했다.

직장인 A 씨는 이날 “노마스크로 출근하니 발가벗은 기분”이라면서도 “지하철 내리자마자 (마스크) 벗어버리고 회사까지 오니 좋다”고 말했다. 자정을 넘기자마자 편의점에 다녀왔다는 B 씨는 “노마스크 입장”이라며 미션을 수행한 듯 표현했다. 헬스장에 다닌다는 C 씨는 “마스크를 안 써서 너무 좋다”며 “운동할 때 이렇게 숨 쉬었지(느꼈다)”라고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마스크 착용은 원칙적으로 자율에 맡겨진다. 이번 조치로 대형마트, 백화점, 식당, 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이나 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학원 등 교육·보육시설 등 대부분 장소에서 마스크를 벗을 수 있게 된다. 헬스장과 수영장 등 운동 시설에서도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된다.

다만 아직까지는 마스크를 벗는 것에 어색한 이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직장인 D 씨는 “사무실에서 노마스크는 나뿐이다. 다들 눈치 보는건가”라며 “혼자 벗고 있기 민망해서 다시 착용했다”고 했다. 운동시설 등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헬스장에 다닌다는 E 씨는 “마스크 해제해서 설렌 마음으로 왔는데 다들 마스크를 쓰고 있더라”고 전했다.

강남에 위치한 한 헬스장 관계자는 동아닷컴과의 통화에서 “아직까지는 마스크 쓰시고 운동하는 분들이 훨씬 더 많다”고 했다. 일부 보육시설도 조심스럽다는 분위기다. 용인 지역 한 어린이집 관계자는 “(마스크 관련) 아직 공문 내려온 게 없다”며 “별도 지침이 내려올 때까지 마스크 착용을 유지할 것”이라고 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된 30일 서울 광진구 광장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마스크를 착용한 채 등교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0시부터 대중교통과 의료시설, 감염 취약시설 등 일부 시설을 제외한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로 조정했다. 뉴스1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된 30일 서울 광진구 광장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마스크를 착용한 채 등교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0시부터 대중교통과 의료시설, 감염 취약시설 등 일부 시설을 제외한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로 조정했다. 뉴스1

한편 의료기관과 약국, 감염 취약시설, 대중교통 등 감염 위험이 높은 일부 장소에서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유지된다. 또 유치원이나 학교 통학 차량 등 전세버스에서도 당분간 마스크를 써야 한다. 한 누리꾼은 “지하철역까지 마스크를 벗고 가야지라는 생각만 하고 나왔더니 아예 마스크를 챙기지 않았다. 부랴부랴 편의점에서 (마스크를) 하나 구매했다”고 말했다.





조혜선 동아닷컴 기자 hs87cho@donga.com

오늘의 추천영상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댓글 0
닫기
많이 본 뉴스
사회 최신뉴스
베스트 추천